학술논문
자폐성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
이용수 104
- 영문명
- Colleg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ASD
- 발행기관
- 한국장애학회
- 저자명
- 민경선(Gyeong-Seon Min) 채주희(Joo-Hee Chae)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학회지』제9권 제1호, 31~5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을 장애학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적절한 지원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 대학생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고, 의미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핵심주제는 1)편견을 재고하다, 2)다가서지 못하다, 3)성실하게 노력하다, 4)장애를 고려받지 못하다, 5)주체가 되지 못하다, 6)꿈을 향해 도약하다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는 친구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성적에 대한 기대와 좌절을 느꼈다. 또한 대학 수업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하려는 의지와 꾸준히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이들은 장애를 고려하지 않은 시험과 수업 시스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학내에 자폐성장애 학생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폐성장애 대학생들의 유의미한 대학생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장애특성을 고려한 교육환경 개선과 개별 욕구에 따른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llege lif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ASD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Korea from a disability studies perspective and to explore appropriate supports. To collect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s with ASD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nd themes were derived by categorizing the meaningful content. The key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study were: 1) rethinking prejudices, 2) not being able to reach out, 3) trying hard, 4) not being considered, 5) not being able to take ownership, and 6) leaping towards dreams. The participant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friendships, expectations and frustration with grades. Despite their self-determination and persistent efforts to adapt to college classes, they struggled with testing and classroom system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ir disabilities and lack of support for students with ASD. In order to support meaningful university life for students with ASD,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that take into account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provide customized support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꿈을 향해 도약하다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