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실태 연구
이용수 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tus of Online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창의인성학회
- 저자명
- 김준성(Jun-Seong Kim) 김강희(Kang-Hee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과 문화』제6권 제1호, 72~86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실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에 소재한 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 현황 및 인식 수준 관련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대면 수업 실태에서는 교수자가 직접 강의하는 영상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교수자나 교과에 따라 수업의 질 차이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만 사항으로는 비대면으로 인한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인 만족도와 교수자 수업 준비도에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선 사항으로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보급이 나타났다. 셋째, 비대면 수업에서 학사 일정 및 공지 문제와 강의 음질 및 화질에 대해서 절반 이상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향후 비대면 수업 지원을 위한 표준화 방안 마련에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online learning for college students and to propose support measures for effective online classes. To this end, a survey on the status and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was conducted with 349 college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in Busan.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in the status of online classes, videos of lectures given directly by instructors were preferred the most, and there was a perceived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classes depending on the instructor or the subject, with the lack of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due to online learning being the most common complaint. Second,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the preparedness of the instructors for their classes were both found to be satisfactory, with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content emerging as areas for improvement. Thir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e academic schedule and announcement issues, and the quality of lecture audio and video as very important factors in remote learning. Lastly, the need for establishing standardized measures to support future online classes was addressed, and suggestions for related follow-up research were propo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 문화 제6권 제1호 목차
- 학교폭력 피해 및 목격 경험 청소년이 인식하는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연구
- 학령기 경계선 지능의 아동에 관한 문헌적 고찰
- 비대면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습자의 감정반응,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창의적 자기신념과 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실태 연구
- 메타버스 시대, 유아의 다중정체성에 대한 가능성 고찰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적응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개인비전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원예치료 활동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