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시지가제도의 특수용도 토지 조사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이용수 31
- 영문명
- Improving Land Survey Standards for Special Use in the Public Land Price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주용범(Yong Beom Ju)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34권 제2호, 85~1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9년 지가공시 업무부터 전문성 향상, 가격균형성 제고를 위해 특수토지 조사의 전담기구 운영 및 전담제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관리체계의 변경과 함께 특수토지 조사기준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전면적인 검토 및 정비가 없었던게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토지 공시지가 조사의 합리적 기준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현행 가치판단 위주의 특수토지 특성을 용도, 시장성, 가치판단적 측면으로 확대 정의하였으며, 새로이 정의된 특수토지 특성에 부합하면서 지가공시업무 특성을 반영한 특수토지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이후 특수토지 특성과 부합 여부, 인허가 및 감정평가현황 등의 검토를 통해 특수토지 조사제외 유형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유형별 세부적인 특성 및 제외 사유를 검토하였다. 또한 특수토지의 용도적, 시설물 및 공간적 조사범위와 관련하여 각 사례별 조사범위를 구체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특수토지 조사기준 및 현황
Ⅲ. 특수토지 유형 및 조사기준의 문제점
Ⅳ. 특수토지 유형 및 조사기준 개선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