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외막산소공급 후 발생한 허혈시신경병증 2예
이용수 12
- 영문명
- Two Cases of Ischemic Optic Neuropathy after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한광언(Kwang Eon Han) 김상윤(Sang Yoon Kim) 김수진(Su Ji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5,number6, 412~416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심정지 환자에서 체외막산소공급 후 허혈시신경병증이 발생한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1) 36세 남자가 체외막산소공급 후 주변 시야가 어둡게 보인다고 하여 안과로 의뢰되었다.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0.9, 좌안 0.8로 측정되었고, 안압은 우안 12 mmHg, 좌안 10 mmHg였으며, 색각은 정상이었다. 시야검사에서 양안의 고리모양 암점이보였고, 안저검사에서 양안 시신경유두가 창백하였으며,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감소가 있었다. (증례2) 48세 여자가 체외막산소공급 후 우안의 시력저하를 호소하여 안과로 의뢰되었다.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동, 좌안 1.2로 측정되었고, 우안의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와 색각저하가 관찰되었다. 시야검사에서 우안의 전시야결손이 관찰되었고, 안저검사에서 우안의 시신경유두가 창백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에서는 경도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감소만 있었으나, 황반신경절세포층과 내망상층 두께의 감소는뚜렷하였고,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구후시신경의 고신호 강도와 비정상적 조영증강이 관찰되었다.
결론: 심정지 환자가 체외막산소공급 치료 후 시력저하나 시야결손이 발생하는 경우 허혈시신경병증을 감별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two cases of non-arteritic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 follow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treatment.
Case summary: (Case 1) A 36-year-old man underwent ECMO treatment. Upon regaining consciousness, he complained of a darkened peripheral visual field and was subsequently referred to an ophthalmologist. Hi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0.9 in the right eye and 0.8 in the left eye. The intraocular pressure measured 12 mmHg in the right eye and 10 mmHg in the left eye; color vision was normal. A visual field test demonstrated concentric visual field defects in both eyes, and a fundus examination revealed a pale optic disc.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indicated a decrease in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Case 2) A 48-year-old woman underwent ECMO treatment. After regaining consciousness, she reported decreased vision in her right eye. Her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limited to hand motion in the right eye and was 1.2 in the left eye. A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in the right eye was observed. Color vision in the right eye was compromised, and a fundus examination revealed a pale optic disc. A visual field test demonstrated total visual field defect in the right eye, while OCT showed decreases in both the RNFL thickness and the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of the right ey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vealed high signal intensity and abnormal enhancement in the right retrobulbar optic nerve.
Conclusions: In cases where vision loss and visual field defects are observed following ECMO treatment, differential diagnoses for ischemic optic neuropathy are warranted.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