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고용량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후 임상 양상 및 자가항체 수치 변화
이용수 24
- 영문명
- Clinical Changes and Autoantibody Level Changes in Thyroid Eye Disease Patients after Intravenous High-dose Steroid therap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정지현(Jee Hyun Jeong) 이동철(Dong Cheol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5,number6, 361~36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고용량 스테로이드 주사 후 임상 활동도 점수(clinical activity score, CAS), 안구돌출도, 눈꺼풀각막반사간거리1 (margin-reflex distance 1, MRD1), 자가항체 수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갑상샘눈병증 진단 후 고용량 정맥 스테로이드 주사한 83명의 환자에 대해 후향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안구돌출도, MRD1, CAS, 갑상샘자극항체(thyroid-stimulating antibody, TSAb),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항체(thyroid-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ntibody, TSHR Ab)는 치료 시작 전 기저 수치, 치료 시작 6주, 12주 후, 치료 종료 2개월 후 평가되었다. 또한 기저 혈청 셀레늄수치가 치료 예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평가되었다.
결과: TSAb, TSHRAb 그리고 CAS는 치료 종료 2개월 후까지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각각 443.2 specimen-to-reference control ratio (SRR%)에서 341.03 SRR%, 22.18 IU/L에서 7.91 IU/L, 3.37에서 1.88 (p<0.0001)로 나타났다. 안구돌출도는 기저 수치와비교하여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시점은 없었으며, MRD1은 치료 시작 12주째 감소를 보였으나, 치료 종료 2개월 후에는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기저 혈청 셀레늄 수치와 안구돌출도, MRD1, TSAb, TSHR Ab, CAS의 변화 간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고용량 정맥 스테로이드 치료는 TSAb, TSHR Ab 및 CAS의 개선에 있어 효과적이며 치료 종료 2개월째까지도 지속된 효과를보여준다. 하지만 눈꺼풀뒤당김 및 안구돌출도의 완화 측면에 있어서는 한계가 확인되며, 기저 셀레늄 수치는 임상 양상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travenous steroid therapy on the clinical activity score (CAS), exophthalmos, margin-reflex distance 1 (MRD1), and autoantibody levels in patients with thyroid eye disease.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e enrolled 83 patients diagnosed with thyroid eye disease treated with intravenous steroid therapy. We assessed exophthalmos, MRD1, CAS, thyroid-stimulating antibody (TSAb), and thyroid-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ntibody (TSHR Ab) levels at baseline, 6 and 12 weeks after initiating therapy, and 2 months after therapy termination. Additionally, baseline serum selenium level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ir impact on treatment efficacy.
Results: TSAb, TSHRAb, and CAS levels showed a continuous decline from 443.22 to 341.03 specimen-to-reference control ratio (SRR%), 22.18 to 7.91 IU/L, and 3.37 to 1.88, respectively (p < 0.0001), up to 2 months following therapy termination. Exophthalmo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at any assessed time point up to 2 months after therapy termination. MRD1 decreased until 12 weeks after therapy initiation bu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2 months later.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aseline serum selenium levels and changes in exophthalmos, MRD1, TSAb, TSHR Ab, or CAS.
Conclusions: Intravenous steroid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TSAb, TSHR Ab, and CAS levels up to 2 months after therapy termination. However, it had limited positive impact on exophthalmos or eyelid retraction. Baseline selenium levels did not correlate with the changes in any of the examined parameter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