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Korea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Tea culture space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과학학회
- 저자명
- 유병희(Byeong-hee Yoo)
- 간행물 정보
- 『국제차문화과학』제3집, 119~1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dividing 67 papers on domestic tea culture space into humanities and arts. The three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research on humanities in tea culture spac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rinking tea Topic Information and by country. Among them, the main word were the Tea Drinking Space, tea house, tea ceremony, Tea Table, Japanese Traditional Tea House, Tea Table's Elements in China. Second, the study of tea culture space was conducted mainly around Korean, and there were many a comparative study by country and Korea studies compared to China and Japan Second, the degree theses comprised 17 in humanities at 7 universities and 22 in art studies at 16 universities. Third, the field of humanities was producing theses equivalent to 73 percent of the total in graduate schools with tea-related departments, but the field of art was widely seen in each graduate school. There were 12 article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16 in the field of arts, in the field of arts in the journal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증 여성장애인의 고용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노동시장에서의 이중차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고용의무사업체 장애인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