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칠곡 松林寺의 입지조건과 창건배경

이용수  30

영문명
Location and Foundation of the Songlim-sa Temple in Chilgok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이상훈(Sang-hun Yi)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18집, 111~14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송림사는 팔공산의 서남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이다. 현재까지 송림사에 대한 연구는 유적과 유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사찰의 창건배경은 그다지 주목되지 못했다. 송림사의 사리장엄구는 감은사의 것과 거의 동일한 보장형 사리장엄구로서, 7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리장엄구가 7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이라면, 이 시기에 송림사가 창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7세기 후반 신문왕은 9주 5소경 제도를 완성하고, 달구벌 천도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를 전후하여 팔공산이 중악으로서 중시되기 시작하였다. 팔공산 서남쪽에 자리잡은 송림사가 창건된 시기이기도 하다. 달구벌로 천도가 될 경우 서쪽은 낙동강이라는 자연해자가 있고, 북쪽으로는 팔공산이 자연병풍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럴 경우 팔공산을 우회하여 남하할 수 있는 교통로를 통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송림사의 입지조건이 중시되어 창건된 것으로 파악된다.

영문 초록

The Songlim-sa Temple(松林寺)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side of the Mt. Palgong(八公山) in Daegu. A research work to the Songlim-sa Temple has stood up focusing on relics. And it wasn't watched about a background of establishment. A bone of a Buddhist saint tool(舍利具) of the Gameun-sa Temple(感恩寺) and The Songlim-sa Temple are similar. Therefore it's possible to think to have been made in the second half in the 7th century. The King Shinmun(神文王) tried to move the capital at the same time. The king Shinmun thought the capital moved to Daegu from Gyeongju. When Daegu becomes the capital, the Songlim-sa Temple on the north side will be a center in military way. After all, the Songlim-sa Temple established this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송림사의 창건시기 재검토
Ⅲ. 송림사의 가람배치와 입지
Ⅳ. 달구벌 천도 시도와 송림사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훈(Sang-hun Yi). (2014).칠곡 松林寺의 입지조건과 창건배경. 한국고대사탐구, (), 111-143

MLA

이상훈(Sang-hun Yi). "칠곡 松林寺의 입지조건과 창건배경." 한국고대사탐구, (2014): 111-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