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의 嘉禮 수용과 運用

이용수  19

영문명
The Adoption of Garae and Its Management in Shilla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채미하(Mi-ha Chai)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18집, 81~10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五禮 중 가례는 다른 4례와는 달리 萬民이 행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가례가 신라에 수용된 것은 진덕왕 5년부터 시작된 賀正禮에서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당시의 귀족회의체의 변화와 관련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하정례의 수용을 통해 신라 왕의 왕권은 한층 강화되었고, 君臣간의 모임의 공간이 南堂에서 朝元殿으로 변화되었다고 하였다. 가례를 대표하는 것은 혼례로, 신문왕의 혼인 뿐만 아니라 신라 중대 이후 赦免은 「개원례」 가례의 내용과 비교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신라 왕의 혼인과 사면, 그리고 하정례로 대표되는 朝賀禮는 왕권의례이자 각 사회계층의 정치질서였다. 하지만 가례는 구성원간의 화합을 도모하기도 하였는데, 가례 절차에 있는 宴會에서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Garae among Orae stood out from four Rae in that every person perform it. The fact that this Garae was adopted in Shilla could be found out in Hajeong Rae which had been begun in Jindeuk 5 years. This was related with the change of aristocrats‘ meeting system of those days. And by adopting Hajeong Rae, royal authority of Silla's king was reinforced more, and the meeting place of a king and subjects changed from Namdang to Jowonjeon. Honrae could represent Garae and not only the marrage of king Shinmoon but Shamyeon from middle period of Shilla could be compared with the contents of 「Gaewonrae」Garae. Joharae represented by such king's marrage of Shilla and Shamyeon, and Hajeongrae was the political order of each social hierarchyhe as well as the rite of royal authority. However, Garae also contributed to harmony of its members, which was found out on Yeonhei in procedures of Garae.

목차

Ⅰ. 머리말
Ⅱ. 嘉禮의 수용
Ⅲ. 가례의 運用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미하(Mi-ha Chai). (2014).신라의 嘉禮 수용과 運用. 한국고대사탐구, (), 81-109

MLA

채미하(Mi-ha Chai). "신라의 嘉禮 수용과 運用." 한국고대사탐구, (2014): 81-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