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골품제사회의 정치변동과 불교

이용수  75

영문명
Political Changes, the Bone Rank System, and Buddhism in Silla Society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곽승훈(Seung-hoon Kwaak)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15집, 127~16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법흥왕대 불교가 들어 온 이래 신라 국가는 발전을 거듭하면서 국력이 신장되었다. 이런 속에서 불교는 호국불교와 계율사상으로 治國을 도왔다. 그 결과 불교는 신라의 삼국통일을 이끌어내는데 사상적인 뒷받침을 하였다. 통일을 전후로 의상이 화엄사상을 들여왔는데, 이는 중대 전제왕권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뒷받침하였다. 또한 ‘나무아미타불’을 염불하는 것만으로도 극락에 왕생할 수 있다고 한 정토신앙이 널리 유행하였다. 괴로운 현세를 속히 벗어나기를 기원하는 정토신앙은 현실비판적이라는 점에서 국가에는 다소 위협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었다. 하지만 도리어 현실을 개혁하기보다는 체념케 하는것도 되어, 골품제사회를 지탱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중대 말 하대 초의 정치변동 과정에서 정치적 충돌이 일어났다. 이에 하대 신정권은 원효의 화쟁사상을 내세워 화합을 도모하였다. 흥덕왕 사후 일어난 왕위쟁탈전으로 인해, 신라사회는 중앙은 혼돈으로 빠졌고, 지방에서는 호족들이 자립하게 되었다. 호족들은 선사들의 가르침을 받고 귀의하여 선사상의 홍포를 도왔다. 더욱 선사상은 그들을 자립케 하는 사상적 뒷받침을 하였다. 이로서 불교는 골품제사회를 유지시켜 오던 기능과 역할을 사실상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나라에서는 선승들을 회유하여 국가불교의 틀에 들어오도록 노력을 경주하였다. 그들은 대체로 선교일체의 사상적 경향을 갖고 있었다. 체징선사의 선교일체사상은 혜능의 선사상과 화엄의 법신불사상을 會通하는 것이었다. 체징은 비로자나불을 조성 중생들을 비로자나법계에 나가는 보현행원신앙을 닦게 하였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체징의 사상은 이론만이 아니라 실천신앙으로서의 성격을 지닌것으로서 그 의미가 적지 않은 것임을 알겠다. 이런 때문에 그의 보현행원신앙은 나라의 주목을 받아 널리 보급되었다. 경문왕대에 다수의 비로자나불이 조성된 사실에서 잘 알 수 있다. 그 결과 보현행원신앙은 이후 한국불교사상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영문 초록

Silla continued to develop and strengthened its national power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King Beopheung(法興王). In such a situation, Buddhism contributed to the rule of the country as a faith to protect the country and ideology of precept sect. As a result, Buddhism offered ideological supports for Silla to achiev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Uisang(義湘) introduced the ideology of Avatamsaka Sutra around the unification, and the ideology supported the centralized ruling system around the sovereign power in Middle Period(中代) of Silla. In addition, Pure Land Faith(淨土信仰), which believes that one can reach the Heaven just by reciting “Namuamitabul(南無阿彌陀佛)” was widely in vogue. Pure Land Faith based on the wish of escaping from the painful world as soon as possible was somewhat threatening to the nation in that it was critical of reality. At the same time, however, it made its believers give up on reality instead of revolutionizing it and accordingly played a role in the maintenance of the Bone-Rank Status(骨品) System-based society. There were political crashes in the process of political changes between the late of Middle Period and early of Late Period(下代) in Silla. Reacting to them, the new sovereign made an attempt at harmony by highlighting the Wonhyo(元曉)’s theory of harmonization. The central circle of Silla society was thrown in confusion due to the struggle over the throne after the death of King Heungdeok(興德王) with powerful families rising independently in the regions. The powerful gentry families received the teachings of Zen masters, devoted themselves to them, and helped with the spread of Zen ideology, which served as an ideological support for their independence. As a result, Buddhism lost its functions and roles to maintain the Bone-Rank Status System based on Silla society. The government then made efforts to entice Zen monks and put them inside the framework of National Buddhism. They usually had an ideological tendency of Seon-Gyo Oneness(禪敎一體). The oneness ideology between Zen and Gyo(敎) by Zen Master Chejing(體澄) was a response to Zen ideology of Hui-neng(慧能) and thought of Dharmakaya-Buddha in the Avatamsaka Sutra. Chejing created Viarocana Buddha and had the people develop the faith of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普賢行願) to move toward the realm of Viarocana, in which sense his ideology holds great significance as a faith of practice as well as theory. It was for those reasons that his faith of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government and was broadly spread, which is well reflected in the many Viarocana Buddha image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mun. As a result, faith of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had huge impacts on the Buddhist ideology community of Korea.

목차

Ⅰ. 국가불교의 발흥과 국력 신장
Ⅱ. 중대 專制王權과 宗派佛敎
Ⅲ. 중대 말 하대 초의 정치변동과 和諍思想
Ⅳ. 하대 豪族의 등장과 禪敎一體
Ⅴ. 骨品制 사회와 불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승훈(Seung-hoon Kwaak). (2013).신라 골품제사회의 정치변동과 불교. 한국고대사탐구, (), 127-160

MLA

곽승훈(Seung-hoon Kwaak). "신라 골품제사회의 정치변동과 불교." 한국고대사탐구, (2013): 127-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