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風納土城 출토 文字와 符號 探論
이용수 23
- 영문명
- An Analytical Study of the Characters and Marks on the Objects Excavated from Pungnabtoseong Capital City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신희권(Hee-kweon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15집,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백제의 첫 도읍인 ‘하남위례성’으로 인정되고 있는 풍납토성에서는 백제 한성기의 문자와 부호 자료가 다량 발굴되었다. 풍납토성의 발굴조사 결과 ‘道’자로 추정되는 글자가 새겨진 벽돌이나 ‘大夫’ 및 ‘井’자가 새겨진 항아리, 그리고 ‘X’자 모양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부호들이 발견됨으로서 해서 당시의 문자 생활에 대한 일말의 추론이 가능하게 되었다.
‘道’자가 새겨진 벽돌이 출토된 유구는 제의와 관련된 폐기 수혈로서, 함께 출토된 유물의 연대를 고려할 때 ‘道’자명 벽돌은 늦어도 3세기 후반 이전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道’라는 글자는 지금까지 발견된 백제시대 최고의 문자에 해당된다. 이는 백제가 문자로 역사를 기록했던 근초고왕대보다 이른 시기에 문자를 사용하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이와 인접한 수혈에서 ‘大夫’와 ‘井’ 등의 글자가 새겨진 항아리들이 출토되었다. 이 수혈 또한 제의와 관련된 폐기장으로 추정되며, 여기서는 水神에 대한 제사나 祈雨 등을 목적으로 한 제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大夫’는 중국이나 고구려 등의 기록을 비교한 결과 관련 제의를 수행한 관직명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고, ‘井’은 그러한 제의와 연관된 우물을 뜻하는 글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리라 판단된다.
이밖에 토기의 바닥이나 몸체 일부에 ‘X’, ‘D’, ‘ll’ 등 다양한 모양의 부호를 새긴 예들도 다수 발견되고 있는데, 이러한 부호들은 대체로 토기의 제작자나 사용자, 관리자 등을 표시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use of chinese character during the Baekje Period by examining characters and marks inscribed on the archaeological objects, which have been excavated from ‘Pungnabtoseong’ (which is known as ‘Hanam Wiryeseong’), the first capital city of the period.
The extensive numbers of characters and inscriptive marks on the excavated objects, such as characters of ‘道’ on brick objects, of ‘大夫’ and ‘井’ on jars, and ‘X’-shaped mark on other objects, have provided relevant information of 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ng the way of using characters during the period.
The brick objects which inscribed ‘道’ were found in a waste pit for executing a certain ritual during the period. Considering that other objects from the same pit belongs to the 3rd century late, the brick was made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have been no object with character of the earlier period ever found before, so the bricks has become the earliest example, which proves that Baekje people had already been using chinese character from the 3rd century at least. Such information also reveals that Baekje people had used characters earlier than King Geunchogo’s period when the historical information was recorded.
The characters of ‘大夫’ and ‘井’ which were inscribed on jars from a neighboring pit, which is a waste pit as well for ritual, display that the ritual was dedicated to the God of water praying for rain. Comparing with the records of Chinese and Goguryeo Kingdom of the period, the character of ‘大夫’ refers to the name of an official who had conducted the ritual related to water or rain. and so as the character ‘井’ meaning a ‘well’.
In addition, the marks of ‘X’, ‘D’ and ‘ll’ on the bottom or surface of a pottery are the signature of manufacturer, user and manager of the potteries.
목차
Ⅰ. 머리말
Ⅱ. 풍납토성 유적의 성격과 의의
Ⅲ. 풍납토성 유물에서 발견된 문자와 부호
Ⅳ. 풍납토성 발견 문자와 부호의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