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쯔라·아키타·쓰시마에 출현한 寬平新羅海賊

이용수  31

영문명
Consideration on the Silla Pirates of Kanpyō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정순일(Soon-il Ch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14집, 111~156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죠간 11년(869) 신라해적’과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칸표 신라해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9세기 후반의 ‘신라해적’을 동질적인 존재로 파악해 온 선행연구의 방법론에 대해, 출몰배경·세력규모·활동범위·사용항로·행동양식·조직화 정도 등의 제요소 및 시기적 변화양상에 유의하면서 그 실체에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논하였다. 다음으로, 종래에도 ‘칸표 신라해적’에 대한 여러 어프로치가 있었지만, 유감스럽게도 신라해적 그 자체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된 적이 없음을 지적하고 ①신라해적이 왜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지역을 노렸는가, ②이들은 한반도의 어떤 세력이 해적화한 것이며, 또 해적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는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검토의 결과, ①에 대해서는 신라해적이 칸표 5년(893)~6년(894) 2년간 크게 3회에 걸쳐 히고노쿠니 아키타군, 히젠노쿠니 마쯔라군, 쓰시마를 노렸다는 점을 밝혔다 그들이 해당지역을 중심으로 . 활동을 전개한 이유에 대해서는 사이카이도의 사키모리제 운용과 물자조달방식의 관련성으로 보아, 신라해적이 물자의 집적지라 판단되는 지역을 타깃으로 하였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한편, ②신라해적의 주체에 대해서는, 자립시기, 보유병력의 규모, 해상세력의 운용능력, 일본으로의 지리적 접근성 등으로 보아, 견훤세력과의 상관성이 상정된다고 추찰하였다. 독자화를 선언한 견훤은 세력확장을 위해 신라왕권을 비롯한 여러 지방세력과 싸움을 계속할 필요가 있었는데, 한반도 내에서는 흉작, 기근 등의 재이가 잇달아 발생하고 있었기 때문에, 눈을 해외로 돌릴 수밖에 없었다고 추론한 다음, 사이카이도의 주요지역을 노렸던 것도 군수물자 보급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을 것이라 논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본고에서의 추론, 특히 ②에 관해서는 결정적 근거가 충분치 않은 측면도 있기 때문에, 견훤세력과 신라해적과의 관련성을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10세기 초에 견훤이 보인 움직임(그 가운데에서도 대외교섭의 양상)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Silla pirates, who attacked western Japan, in Kanpyō period(Kanpyō is a Japanese era name. It spanned the years from April 889 through April 898). Silla pirates appeared three times over the two years, 893~894 AD. They attacked Matsura-gun, Akita-gun, and Tsushima. Because abundant materials from kyushu were accumulated into the three areas. It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relations with Sakimori system(a kind of military system in early Japan) and supply system of Saikai-do. I guess Silla pirates was connected with Gyeon-hwon group. It is based on the geographical accessibility into Japan, the strength of an army, the operational capability of maritime forces, and the time of Gyeon-hwon’s Independence. Gyeon-hwon needed to continue the fight with several local forces of silla for the expansion of armaments. However, disaster, such as a bad harvest and famine, occurred one after another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y were forced to turn own eyes to the outside. Silla pirates’s attack into main areas of Saikai-do will be clos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munit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平新羅海賊의 동향
Ⅲ. 쓰시마의 사키모리제(防人制)와 물자조달방식
Ⅳ. 히젠 마쯔라군과 히고 아키타군
Ⅴ. 『扶桑略記』의 신라해적기사를 둘러싸고
Ⅵ. 견훤세력과 신라해적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순일(Soon-il Chong). (2013).마쯔라·아키타·쓰시마에 출현한 寬平新羅海賊. 한국고대사탐구, (), 111-156

MLA

정순일(Soon-il Chong). "마쯔라·아키타·쓰시마에 출현한 寬平新羅海賊." 한국고대사탐구, (2013): 111-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