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주지역 주요 寺址 석탑의 편년과 의의

이용수  86

영문명
A Study on the Stone Stupa that Were Built on the Temple Site in Wonju city: Relatede with Geodonsa, Heungbeopsa, Beopcheonsa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정성권(Seong-Kwon Je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25집, 341~37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원주지역의 주요 사지인 거돈사지와 법천사지, 흥법사지에 건립된 삼층 석탑의 편년과 미술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본문에서는 각 사지에 존재하는 삼층석탑의 양식을 살펴보았으며 발굴조사 결과와 가능한 경우 금석문도 함께 고찰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거돈사지 삼층석탑이 9세기 중반 경 단의장옹주의 후원으로 지증대사 도헌이 거돈사를 중창했을 때 조성된 석탑임을 알 수 있었다. 거돈사지 삼층석탑은 본 논문에서 다루는 세 사지에 있는 석탑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조성된 석탑임을 알 수 있었다. 흥법사지 삼층석탑은 10세기경 만들어진 고려시대 석탑으로 알려져 있다. 본문에서는 석조미술 흐름의 맥락상 태조 왕건에 의해 흥법사가 중창되는 10세기 초반 경에 석탑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법천사지 삼층석탑은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1세기 중반 경에 조성된 석탑임을 고찰하였다. 거돈사지 삼층석탑은 신라문화의 북방한계선 중심에 세워진 상징성이 큰 석탑임을 본문에서 논의하였다. 본문에서는 신라문화의 북방한계선을 평면 방형의 이중기단을 구비한 삼층석탑의 분포를 통해 유추하였다. 그 결과 통일신라 문화의 북방한계선이 속초-인제-횡성-원주-안성-평택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거돈사지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문화의 북방한계선 중심에 세워진 석탑으로 본문에서는 통일신라 문화의 거점을 나타내는 상징적 아이콘으로 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West of Wonju city, there are Han river and Sum river. In ancient, river is kind of expressway. Near the place which Sum river run into Han river, Many famous temples were built. For example, Geodonsa(居頓寺), Heungbeopsa(興法寺), Beopcheonsa(法泉寺). These temples were built in late United Shilla period and rebuilt in early Goryeo period. All of these temples have stone stupa. Geodonsa and Heungbeopsa have three story stone stupa in the middle of temple site. Beopcheonsa also have three story stone stupa but this stupa was collapsed along time ago. This stupa materials were found by an archaeological dig. This paper analyzed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stupa and archaeological remains of three temple site. The stone stupa in the Geodonsa temple site has been known that was built 9th century. This paper studied when the stupa was built. To find the Specific Time Period, this paper analyzed stela of accompanying stupa of buddhist priest Jijengdaesa of Bongam temple. In this stela, there is a record about building of Geodonsa.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he author could find the age of the Geodonsa stupa. It was built between 864 and 867. The stone stupa in the Heungbeopsa temple site has been known that was built 10th century. Heungbeopsa was rebuilt by Taejo Wang Geon(太祖 王建) around 924. Many scholars have been thought that this stupa was built late 10th century. Because the stupa has local style not main stream style. This paper studied when the stupa was built specifically. According the Bonupsa local style stupa could built even though the temple built by Taejo wanggeon in early Goryeo period. Because of this, the author presumed that Heungbeopsa stupa was built around 924. Beopcheonsa has been excavated for 10 years. The team did archaeological dig shows that Beopcheonsa temple was rebuilt on a large scale around 1067. Because of this, the author could know that Beopcheonsa stupa was built in the same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석탑의 현상과 편년
Ⅲ. 석탑의 특성과 의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권(Seong-Kwon Jeong). (2017).원주지역 주요 寺址 석탑의 편년과 의의. 한국고대사탐구, (), 341-375

MLA

정성권(Seong-Kwon Jeong). "원주지역 주요 寺址 석탑의 편년과 의의." 한국고대사탐구, (2017): 341-3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