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설화에 나타난 원주의 장소성과 문학지리

이용수  23

영문명
A Study on the Placeness and Literary Geography of Wonju in the Folklore
발행기관
운곡학회
저자명
김금숙(Gum-suk Kim)
간행물 정보
『운곡논총』제13집, 41~6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5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화 속 공간과 실제 지리적 공간 을 비교해 봄으로써 원주 설화에 나타난 문학지리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원주 지역 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화에 나타난 원주는 우선 서울에서 강원도의 여러 곳으로 가는 관 문 또는 강원도에서 서울로 가는 관문으로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 설화 속에는 원 주가 중앙 즉 서울과 물리적으로, 심리적으로 인접한 곳이라는 인식이 나타나 있었고, 그 래서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서울을 오갈 수 있는 곳이라는 인식도 내재되어 있었다. 이렇 게 중앙과 인접한 곳이라고 여겼기에 원주는 조선의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영향권 안에 있는, 그래서 전통적 가치를 중시하는 곳이라는 인식도 설화에는 함께 나타나 있었다. 설 화에 나타나는 이러한 공간 인식은 원주라고 하는 실제의 지리적 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 징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원주라는 실제 공간의 특징이 설화에 그대로 드러나기 도 하고, 특징 중 일부가 부각되거나 배제되는 방식으로 공간 이미지가 재구축되기도 한 다. 원주 지역의 설화 전승 집단이 오랜 세월 동안 원주라는 지리적 공간이 지니는 속성을 직간접적으로 인지하고 있었고, 이것이 자연스럽게 설화 전승 과정에서 설화 속 원주라고 하는 공간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도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geography in Wonju folk tales by comparing the actual geographical space in folktales, which has been passed down in Wonju, Kangwon-do. The characteristics of Wonju in the folktales handed down in the Wonju area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onju was expressed as a gateway from Seoul to various places in Kangwon-do, or a gateway from Kangwon-do to Seoul. In addition, there was a perception that Wonju wa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close to the center, that is, Seoul. Therefore, there was also an inherent perception that I could go to Seoul anytime I wanted. Wonju was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Joseon(朝鮮)'s Confucian ideology because it was thought to be adjacent to the center. Therefore, there was also an idea that it was a place that valued traditional values. This spatial perception in the folktal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geographical space called Wonju.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space called Wonju are also revealed in the story. In addition, spatial images are reconstructed in a way that some of the features are highlighted or excluded. For a long time, the folktale transmission group in Wonju has recognized the attributes of the geographical space of Wonju directly or indirectly. In addition, this natural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space called Wonju in the folktal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olktale.

목차

Ⅰ. 서론
Ⅱ. 설화에 나타난 원주의 장소성
Ⅲ. 설화에 나타난 원주의 문학지리적 특징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금숙(Gum-suk Kim). (2023).설화에 나타난 원주의 장소성과 문학지리. 운곡논총, (), 41-69

MLA

김금숙(Gum-suk Kim). "설화에 나타난 원주의 장소성과 문학지리." 운곡논총, (2023): 4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