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운곡시사』의 지명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place names in 『Ungoksisa』: Focused on the destinations in northern Gangwon
- 발행기관
- 운곡학회
- 저자명
- 김은철(Eun-cheol Kim)
- 간행물 정보
- 『운곡논총』제15집, 153~19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5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운곡은 공적·사적으로 여행을 많이 하였고, 그때 쓴 시에는 당시의 지명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운곡의 경우 공식 기록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우리는 그가 남긴 시작품을 통하여 역으로 그의 일생과 세계관을 재구성하여야 한다. 그의 행적과 세계관을 파악하기 위해서 여행 일정 및 이동 노선, 여행의 목적을 우선적으로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시에 나타나는 지명 고찰은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운곡시사』에 등장하는 지명 중 현재까지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는 것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의 위치를 고증하고자 하였다. 『운곡시사』에 나타나는 여행지 및 지명의 범위가 너무 넓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그의 1~3차 강원북부 여행에서 나타난 지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당시의 고지명과 현대의 지명을 고증하기 위해서 단순한 지명의 비교에서 벗어나 여행 노정 및 당대의 교통망, 시대에 따른 지명 변천과정을 고려하였다. 지금까지는 단순한 지명의 비교에 머물러 전혀 다른 곳의 지명으로 고증되어 행로가 어긋나는 수가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여행 중의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그 노선상에 있는 지명을 고찰하여 현재의 위치를 확정함으로써 운곡의 여행 경로를 충실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운곡은 주로 말을 타고 이동하였기 때문에 역로를 따라 여정을 잡았고 주로 객사 또는 驛院에서 숙박하였다. 운곡의 경우 작품에서 유추되는 하루 이동거리는 평균 60~70리였고 때로는 120~130리를 이동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하루 평균 이동 거리와 역로를 따른 여정에서 당대의 지명과 현재의 지명을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추정 또는 확정하였다.
여정을 추적하는 지도로는 「대동여지도」를 기본자료로 사용하고 1930년도의 지적도를 보조자료로 사용하였다. 지리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을 기본자료로 활용하였다.
본고에서 위치를 새로 밝히거나 구체적으로 논의한 지명은 ‘원양역’, ‘원천역’, ‘말흘촌’, ‘향성’, ‘통포현’, ‘청양’, ‘사물동’ 등이다. 여기에서 드러난 바는 운곡은 조선시대에 확정되는 지명을 이미 쓰고 있거나 자신이 임의로 고쳐 쓰기도 하였다는 것이다. 즉 고려 말에는 지명이 혼용되어 쓰이기도 하였고 임의로 변용도 가능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영문 초록
Ungok traveled a lot, publicly or privately, and many place names of the time appear in the poems he wrote at that time. In the case of Ungok, there are no official records, so we must reconstruct his life and worldview in reverse through the original products he left behind. In order to understand his travels and worldview,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his travel itinerary, route, and purpose of the trip, and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place names that appear in the poems.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research the current location of place names that appear in 『Ungoksisa』 that have remained unresolved until now. Since the range of destinations and place names appearing in 『Ungoksisa』 is so wide, this study focused on place names that appeared during his first to third trips to northern Gangwon.
In this paper, in order to research the old place names of the time and modern place names, we beyond the mere comparison of place names and considered travel routes, the transportation networks of the time, and the changing process of place names over time. This is because,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the path has been misaligned as it has been limited to a simple comparison of place names and has been verified as a place name from a completely different pla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aithfully reveal Ungok's travel route by tracing the distance and route traveled during the trip, examining place names along the route, and confirming the current location.
Since Ungok mainly traveled on horseback, he followed the horse station and stayed mainly at Gaeksa or Yeogwon. In the case of Ungok, the daily distance inferred from the work was 60 to 70 ri(里) on average, and sometimes 120 to 130 ri(里). In this study, the current location was estimated or confirmed by comparing the old place name with the current place name in the average daily travel distance and the itinerary along the station route.
To track the journey, 「Daedongyeojido」 was used as basic data, the cadastral map of 1930 was used as auxiliary data. And geography used 『Donggugyeojiseungnam』 as a basic data.
Place names newly revealed or discussed in detail in this paper are ‘Wonyangyeok’, ‘Woncheonyeok’, ‘Malheulchon’, ‘Hyangseong’, ‘Tongpohyeon’, ‘ Cheongyang’, and ‘Samuldong’. What is revealed here is that Ungok was already using place names confi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he had arbitrary corrected it himself. In other words, it appears that place names wer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could be arbitrarily changed.
목차
Ⅰ. 서론
Ⅱ. 기존연구의 검토 및 연구 방법
Ⅲ. 시에 나타나는 지명의 고찰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문화·경영·기술 제5권 제1호 목차
- 『삼체(三体)』의 이데올로기:원작과 넷플릭스 드라마 속 인물 비교를 중심으로
- 영웅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청소년 비행과 영웅적 행동의 관계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