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고대 예족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이용수 61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Ye(濊) Tribein Ancient Korean History
- 발행기관
- 운곡학회
- 저자명
- 조영광(Yeong-kwang Jo)
- 간행물 정보
- 『운곡논총』제15집, 125~1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5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예맥을 구성하는 두 집단인 예와 맥은 종족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맥’은 종족적으로 ‘예족’인 집단에 비하적 의미가 강한 ‘맥’이라는 접미사가 파생해 만들어진 표현으로, 종족 정체성은 예족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기원 전후 시기 고구려가 성장, 대두하며 중국 세력과 대립하면서 기존 예맥계 세력의 대표인 부여와 구분되는 ‘맥’으로 칭해진 것이다.
강원 영서와 영동 지역은 예족의 분포 지역으로 이해되나, 고금군국지는 영서 지역이 맥국이었던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고고학 발굴 성과나 문헌 사료 등을 통해 볼 때 영서와 영동 지역에 종족적으로 구분되는 두 집단이 존재하였다는 증거는 없다. 물론 이것이 고대 영서와 영동 지역이 같은 정치체에 의해 통솔되었다는 뜻은 아니다. 고대 영서와 영동 지역에 있었던 정치체의 성격과 규모를 파악하는 것은 향후의 과제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research so far,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racial differences between the Ye and Maek, the two groups that make up the Yemaek(濊貊). ‘Yemaek’ is an expression created by deriving the suffix ‘maek’, which has a strong derogatory meaning towards a group of people who are ethnically ‘ye-maek’. Therefore, the ethnic identity of the Yemaek should be viewed as the Yemaek tribe. However, as Goguryeo grew and emerged around the 1st century and confronted China, it was called “Maek,” which is distinct from Buyeo, the representative of Yemaek-based politics.
The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of Gangwon-do are considered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Yemaek people. But, the Gujinjunguozhi(古今郡國志) records that the Yeongseo region was a ‘maekguk(貊國)’.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re were two ethnically distinct groups in the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based on the result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or literature data so fa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ancient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were governed by the same political forces. It is a future task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and scale of politics in the ancient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한민족의 기원과 예족(예맥)에 대한 연구 동향
Ⅲ. 강원 지역의 예족(예맥)에 대한 연구 현황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문화·경영·기술 제5권 제1호 목차
- 『삼체(三体)』의 이데올로기:원작과 넷플릭스 드라마 속 인물 비교를 중심으로
- 영웅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청소년 비행과 영웅적 행동의 관계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