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발생한 양안 광범위 장액성 망막박리 환자 1예
이용수 0
- 영문명
- Bilateral Extensive Serous Retinal Detach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신정화(Jeong Hwa Shin) 송익찬(Ik-Chan Song) 조덕연(Deog Yeon Jo) 남기엽(Ki Yup Na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5,number4, 290~29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발생한 양안 장액성 망막박리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5세 여자 환자가 2일 전부터 시작된 갑작스러운 양안 시력저하로 의뢰되었다. 다발골수종으로 10개월 전부터 항암 치료를받던 환자로,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양안 후극부에 심한 황반 융기 및 대량의 망막하액이 관찰되었다. 형광안저촬영조영술에서 망막하액의 정도에 비해 명확한 혈관 누출은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검사에서 알부민 2.1 g/dL, 혈장단백 전기영동검사에서 M단백 0.19 g/dL가 확인되었다. 저알부민혈증 및 다발골수종에 의한 이상 단백질 관련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혈액검사 결과의 변화를 주시하면서망막 상태를 관찰하였다. 혈장단백 전기영동검사에서 이상 단백질이 점차 감소하면서 장액성 망막박리가 호전되는 경과를 보여 망막상태의 변화는 이상 단백과 관련된 경쇄침착 질환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결론: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한 양안 후극부의 광범위한 장액성 망막박리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형광안저 혈관조영술에서 혈관 누출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발생한 경쇄침착 질환과 관련한 장액성 망막박리의 가능성을 고려해야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scribe a case of bilateral serous retinal detachment in a patient with multiple myeloma.
Case summary: A 75-year-old woman presented with sudden-onset of reduced visual acuity in both eyes which had begun 2 days prior. Initial ophthalmological assessment revealed that visual acuities were 0.03 in the right eye and 0.05 in the left ey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dicated pronounced macular elevation and extensive subretinal fluid accumulation in the posterior pole of both eyes. Fluorescein angiography did not detect any significant vascular leakage. Blood tests showed an albumin level of 2.1 g/dL, and plasma protein electrophoresis revealed an M protein level of 0.19 g/dL. Multiple myeloma-related hypoalbuminemia and paraprotein were suspected. The patient's retinal statuses were closely monitored and compared with blood test outcomes. Over 2 months,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characterized by decreasing macular elevation and reduction of subretinal fluid. This progress was sustained thereafter. Plasma protein electrophoresis showed a gradual decline in paraproteins which coincided with the amelioration of serous retinal detachment.
Conclusions: We encountered a case of acute and extensive serous retinal detachment in both eyes of a patient with multiple myeloma. When fluorescein angiography does not definitively show vascular leakage, light chain deposition disease-related serous retinal detachment should be considered. In such instances, it is important to address and monitor the underlying multiple myeloma.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