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삶의 형식으로서의 직업
이용수 26
- 영문명
- Occupation as a Form of Life: exploring the coexistenc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정철민(Chul Min 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제42권 제1호, 55~7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re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general education. Externally, these changes appear to stem from a decrease in number of eligible students. However beneath the surface lies a critical reflections on higher education itself. As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colleges are required to respond sensitively to industry changes while providing meaningful education throughout student’s lives. It is crucial to distinguish vocational education from vocational training and general education at colleges can help clarify the boundaries between them.
To achieve this end, the concept of occupation must be understood as more than just a means of sustaining livelihood-it is a form of life. Viewing occupation in this light has three implications. 1) It reminds us that life and work are interconnected, not separate entities. 2) It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evaluating actions taken throughout one’s life, offering insight into the value of vocational education in South Korea. 3) understanding job as a form of life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assess the importance of work in self-real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직업교육과 교양 교육의 충돌
Ⅲ. 직업교육과 교양 교육의 공존을 위한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