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EA 키트들 간의 성능 평가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CEA kits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하동혁(Dong hyuk Ha) 신희정(Hee Jung Sin) 유태민(Tae min You) 노경운(Kyoung Woon Noh)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22 No.1, 76~79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is cell-surface 180–200 kDa glycoprotein that is overexpressed in breast, stomach pancreas, lung, and colorectal cancers. CEA was first described in 1965 by Gold and Freedman and then serum CEA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was first measured in 1969 by radioimmunoassay by Thomson. CEA is currently most widely used tumor marker in the clinic for management of colorectal cancer. Various CEA test kit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CEA kit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might have different test results because of different reagents and protoc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sults of four commercial available CEA ki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four commercially available CEA kits using serum samples acquired from 120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Test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test methods. High concentration samples were diluted with saline and diluted solution. Results All of the four ki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in the reference value. However, three of the four kits used for the dilution test using high concentration samples showed the hook effect. Conclusi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dilution standards for the high-concentration specimens to manage the error of the test result by the hook effect.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및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yrogen 투여 후 측정된 Thyroglobulin 농도변화
- 재구성 방법(점 확산함수 적용 유무)에 따른 PET/MR 영상 평가
- Gamma Camera에 있어 측면 선란선의 영향에 대한 평가
- 뼈 검사 영상과 골반 X선 영상의 결합 유용성 평가
- ¹⁸F-FDG Whole Body PET/CT 수검자의 거리별 선량 변화에 따른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유효선량 고찰
- Plasma renin activity(PRA) and Active renin concentration(ARC)비교를 통한 ARC 유용성 실험
- Lung Perfusion scan에서 SPECT-CT의 Q-Metrix방법과 평면영상 결과 산출방법에 대한 비교평가
- Liver PET/MRI 검사 시 MR 기반 호흡 움직임 보정 방법의 유용성 평가
- 방사성옥소 사용 시 배수 중 방사능농도 분석
- PET/CT 장비와 영상 재구성 차이에 따른 EQ PET을 이용한 표준섭취계수의 평가
- PET/CT 검사에서 냉소 인공물 발생 시 산란 제한 보정 알고리즘 적용에 따른 영상 평가
- 타우 PET영상을 위한 ¹⁸F-THK5351의 표지방법 개발
- CEA 키트들 간의 성능 평가에 대한 고찰
- 소화기계 Leakage 환자 검사 시 SPECT-CT의 유용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