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채혈 시간에 따른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검사의 참고치 설정에 관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Consideration for Setting Reference Range for Adrenocorticotropic Hormone Test according to Blood Collection Time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박지혜(Ji-Hye Park) 최진주(Jin-Ju Choi) 임수연(Soo-Yeon Lim) 유선희(Seon-Hee Yoo) 이선호(Sun-Ho Lee)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27 No.1, 47~5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reference range described in Adrenocorticotropic Hormone reagent used in our laboratory is 10-60 pg/mL at 8 a.m. to 10 a.m., and 6-30 pg/mL at 8 p.m. to 10 p.m. However, in the case of outpatients, blood is mainly collected between 10 a.m. and 6 p.m., accounting for 57.8% of the total.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help make a more accurate diagnosis by reevaluating the reference range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Adrenocorticotropic Hormone reagent and setting split-timed reference range.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s collected blood before 10 a.m. were group A (68 people), and the patients collected blood after 10 a.m. were set to group B (80 people). A T-test was performed between groups to test their significance.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it was necessary to set the gender classification as a subgroup. The method of setting the reference range was calculated by the Bayesian’s method and the Hoffmann’s method. Results: The reference range of Group A was 8.6 to 60.6 pg/mL by the Bayesian’s method, and the Hoffmann’s method was 3.6 to 61.3 pg/mL. The reference range of Group B was 6.9 to 50.5 pg/mL when applying the Bayesian’s method, and the Hoffmann method’s was 2.3 to 48.9 pg/mL.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cluded that it was necessary to set the split-timed reference range. Through this study, the later the blood collection time, the lower the level of Adrenocorticotropic Hormone, indicating that blood collection time is important for patients with clinical significance. If a large number of subjects are selected and supplemented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systematic and accurate reference range can be set.
목차
서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뇌 신경 교종 18F-FDG PET/CT 검사에서 포도당 부하 기법에 대한 고찰
- DXA 골밀도 검사에서 방사선사가 인식하고 있어야 할 Pitfall
- 개인선량계 분실 사례 및 분실 방지 방안 조사
- 시약 변경 시 모집단 분포 추이에 따른 결과 분석
- Femoral Metastasis in Bone Mineral Densitometry
- Femoral Cystic Lesion in Bone Mineral Densitometry
- Splenic Absorption of Radiopharmaceutical in Systemic Bone Scans Performed after Liver Transplantation
- 의료기기의 발전을 위한 탄소소재의 활용
- 채혈 시간에 따른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검사의 참고치 설정에 관한 고찰
- 감마카메라의 중장기 외인성 균일도 분석
- PET-CT Normalization, Well Counter Correction에 따른 팬텀을 이용한 영상 평가
- 면역방사계수측정법의 민감도 향상을 위한 변법의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