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타액선 신티그라피 검사에서 타액선 영상과 타액 제거율의 비교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The Comparison with Salivary Image and Saliva Clearance Rate in Salivary Scintigraphy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영빈(Young Bin Kim) 신규설(Kyu Seol Shin) 박연경(Yeon Kyung Park) 김건재(Keon Jae Kim)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3 No.1, 15~1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aim of study is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Salivary clearance rate using saliva and blood and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using Salivary gland Scan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Salivary Scan and Stimulate clearance of 99mTc-pertechnate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with moderate function(group 1), 9 patients with severe function glands (group 2), 3 patients with non function (group 3) and normal 6 controls. Salivay clearance rate was compare with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Salivary glands’ ROI. Result: Stimulate salivary clearance of normal controls was 18.4 ml/min, salivary clearance of group 1 was 10.1 ml/min, salivary clearance of group 2 was 10.4 ml/min and salivary clearance of group 3 was 2.3 ml/min.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normal controls and group 2,3 (p<0.05, p<0.05).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normal controls was 21.6%, 24.6%,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group 1 was 17.6%, 24.0%,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group 2 was 8.8%, 13.9% and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group 3 was 5.6%, 2.9%.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normal controls and group 2,3 (p<0.05, p<0.05). Conclusions: Stimulate salivary clearance using saliva and blood and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using Salivary gland Scan images accord well together.
목차
서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langeless Esser PET Phantom 영상 자동 분석 프로그램의 유용성 평가
- PET/CT 영상에서 조영제를 이용한 CT 영상의 보정(Correction)에 따른 표준화섭취계수(SUV)의 영향
- PET/CT 전신 영상에서 오렌지 주스(Orange Juice)를 이용한 위장 확장 영상의 유용성
- Brain SPECT Processing에 있어서 Macro Program 사용의 유용성
- 골밀도 상태에 따른 검사자의 재현성 평가
- Onco Flash에서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영상의 질 평가
- 건강검진이 의뢰된 여성의 연령에 따른 Osteocalcin의 참고범위 설정
- I-131 전신 스캔을 위한 Transmission Scan Tool 제작과 활용
- PET 검사에서 Iterative 재구성 방법과 True X 재구성 방법에 따른 영상의 균일성 및 대조도 비교 평가
- Lymphoscintigraphy에 이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의 사용제한으로 인한 대체 방사성의약품의 성능평가
- Open Source를 이용한 MicroPACS의 구성과 활용
- Dual detector system에서 Brain SPECT의 new reconstruction method의 연구
- SPECT 검사에서 Onco Flash의 유용성과 질적 향상 평가
- PET/CT검사에서 CT의 확대 유효시야 적용이 표준화섭취계수에 미치는 영향
- 전혈에서 시간과 온도에 따른 Adrenocorticotropic Hormone의 안정성 평가
- 근무형태 및 피폭선량에 따른 PET/CT실의 운영 효율성 평가
- 건강검진 종목으로서 항갑상선 과산화효소 항체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평가
- Cr-51 EDTA GFR 검사 결과의 분석 및 의의
- 타액선 신티그라피 검사에서 타액선 영상과 타액 제거율의 비교 연구
- 영상 재구성 방법에 따른 Bone SPECT 영상의 질과 검사시간에 대한 실효성 비교
- 소아 핵의학 검사 시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의 양 산출 기준 조사
- 운동유무에 따른 양측 대퇴골 골밀도 차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