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junctive Order and Reflexivity of Fil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무규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6호, 9~3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theory that can explain specific film image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reflexivity. It presents the problem by taking the images that appear in Im Kwon-Taek’s Chihwaseon and Beyond the Year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oretical description. In other words, these refer to images that intervene in the narrative continuity, show the construction of the author subject, and thus capture the moment when the meaning of author subject becomes duplicative and paradoxical. In system-theoretical terminology, they can be expressed as a kind of disjunctive order. The images of this form are actually meaningless when seen from the viewpoint of narratology and information theory, but in this paper, they are viewed as points where new features of the subject appear. Such appearances can be explained focusing on the concept called reflexivity. Reflexivity is the result of skepticism on the subject of simple modernit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a concept which can be used to criticize and supplement the problems in the model of enlightenment modernity. In image aesthetics, a model of modernity refers to a structure that can produce a situation in which the narrator has specific authorities but, at the same time, is also concealing himself or herself. A reflexive figure, however, presents such subject or author simultaneously with the object he or she is representing. Therefore, it is distinctive in that it shows author subject composition and work production.
목차
1. 문제제기
2. 영화이론의 유형과 성찰성 개념의 필요성
3. 근대적 주체에 대한 회의
4. 회의, 위험 그리고 성찰
5. 사실주의적 서사의 비판점
6. 자기지시성과 성찰적 형상
7. 임권택의 〈취화선〉과 〈천년학〉
8. 결어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정신분석학적 영화기호학 연구
- 영미권의 영화형 TV 드라마 시리즈 고찰
- <천국보다 낯선>과 <우작>의 연출 유사성 연구
- 근대화의 경험
- 현대 영화에 적용된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수직적 몽타주와 그에 따른 사운드 몽타주로의 이행(移行)에 관한 연구
- 영화 이미지와 포토제니
- 비 관습적 편집을 통해 살펴본 영화 <소름>의 스타일 분석
- 분열된 질서와 영화의 성찰성
- 한국 영화검열과 코미디영화
- 스탠리 큐브릭: 통일된 형식과 내용
- 63빌딩과 IMAX 영화관의 시각적 체험에 대한 연구
- <세대의 임무>
- 일제말기 통제 영화제작회사 연구
- 한국단편코미디의 희극전략과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