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무정>의 각색에 나타난 박기채의 작가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Park Ki-chae's Authorship in the Adaptation of Heartlessness(Mu-jeong): The Formation of Woman's Film and the Emergent Female Reader-spectatorship in Colonial Chosun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주창규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48호, 393~443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attemt to identify Park Ki-chae's authorship in the adaptation of Heartlessness(Mu-jeong). Firstly, I compare and analyse the articulating of the plot between Lee kwang-Su's original novel Heartlessness (Mu-jeong)(1918) and Park Ki-Chae's scenario Heartlessness(Mu-jeong) (1938). Secondly, I analyse the Park's authorship as the overdetermined effect of three phase, which are Park's individual personality as the film director, the specialization and dividing of Chosun cinema industry, and the emergent female reader-spectatorsip as the consumer-suject. Consequently, this paper suggests below. First, there are six charateristics in the adatation from original novel to scenario, that are 'the reduction of the quantity', 'the reduction of the quantity with specific intention', 'the elimination of the enlightment,' 'the redu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popularity,' 'the enlarge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passing-time', and 'the replacement from the melodramatic mode to moderated style.' The mode of the adatation from original novel to scenario is the the feminization of Heartlessness(Mu-jeong)(1918). Second, the feminization of Heartlessness(Mu-jeong) is attributed to Park's individulal personality that is the combination of Park's spirit of author and his ability of well- addressing to female audience. Three, the feminization of Heartlessness (Mu-jeong) is also attributed to the specialization and dividing of Chosun cinema industry, developing woman's film genre by studio production system. Finally, the adapion of Heartlessness(Mu-jeong) is the attempting to articulate the emergent female reader-spectatorship and 'sexual modernism' in colonial Chosun.

목차

1. 영화 <무정>의 밤
2. 원작소설 무정과 시나리오 <무정>의 플롯 분절화
3. 소설에서 영화로 각색의 특징과 무정의 여성화
4. 주체와 ‘무의식적 촉매’로서 박기채의 작가성
5. 식민지 조선에서 ‘여성용 영화 장르’의 형성과 부상하는 여성 독자․관객성
6.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창규. (2011).영화 <무정>의 각색에 나타난 박기채의 작가성 연구. 영화연구, (), 393-443

MLA

주창규. "영화 <무정>의 각색에 나타난 박기채의 작가성 연구." 영화연구, (2011): 393-4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