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s Mock Documentary a Parod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문원립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8호, 185~2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Jane Roscoe and Craig Hight, in their seminal work Faking it: Mock Documentary and the subversion of factuality, regard mock documentary essentially as a parody. It must be, considering their central use of the word “mock”. But, the author argues, if mock documentaries are understood as “fictional texts which in some form look like documentaries”, they are not all parodies, at least not in the ordinary sense of the term. Mock documentaries are supposed to use the “code and conventions” of documentaries, but the problem is that, as an author says, “no particular formal or thematic features exist that are the sole province of either 'documentary' or 'fiction'”. Using the techniques like hand-held shots, interviews, narrations, etc. (so-called “conventions” of documentary) are not enough, and perhaps not even required, for a film to look like a documentary. What is essential in mock documentaries, in the author's view, is that the pro-filmic event does not look like directed, that is, staged. If we think of mock documentaries as films that imitate documentaries, it might seem obvious that they are parodies. But if we think of them instead as films that look un-staged, we can see that they are not by themselves parodies. A film can look un-staged (like a documentary), but one cannot parody an un-staged film (a documentary).
목차
1. 들어가며
2. 로스코와 하이트의 모크 다큐멘터리 이론
3. 모크 다큐멘터리는 패러디가 아니다
4. ‘관습’의 의미
5. 모크 다큐멘터리의 본질
6.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