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ilm Noir? Film Blanc!: 'Thirst'(2009) by Park Chan Wook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배상준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8호, 241~27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s aim is to analyse (2009) by Chan Wook Park, who has drawed worldwide attention with the film (2003). The previous studies on Park's works are focused on theme-analyse, so good and evil, desire and celibacy, and guilty conscience. But the film forms, namely filmic apparatuses, that make this themes on his works apparent, have been neglected by the film studies. In other words, there is no attempt to analyse concrete images and frames or mise-en-scène, that realize those characteristic themes by Park. The theme-biased study on Park's works ist not an exception for , a story of 'vampire of violent passions', that portrays the equal question on original sin and rescue of huma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Park's film from the perspective of style and visual analyse. The keyword is here 'film blanc', that Thomas Elsaesser suggested as an extension of the term 'film noir'. Because performs the specific theme of acute conflict between releasing of desire and self-repressing with the surrealistic white (also 'blanc') images and mise-en-scène. So, this work tries to develop the concept of 'film blanc' and to apply it to analysing the form by . This will offer proof, that the term 'film blanc' is effective to represent the theme of film, thus corruption of human being and absence of soul.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필름 블랑크(film blanc)
3. <박쥐>
4. 마치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