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3D Cinema Strorytelling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조해진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9호, 353~3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ooking at the film history and film technology, film formula and content were changed effectively every time when film technology was developed. The change of Film technology receive credit for what it fits with story and genre. despite expensive ticket price, 3D film gathers its audience more and more, and its industry become a momentum in film industry all over the world. With this point of view, The fact was founded that The encounter of film and literacture caused by sound film. and fantasy film got popularity because of the Digital cinema which took its materials from fantasy novel and comic books. In the 3D film, Immersion is very important element. there are sensual immersion and on-screen immersion in 3D film. that situation is very similar with game in attitude of immersion. This study gives some types of storytelling which are suitable for 3D films. first, fantasy story which give us fantasitic reality. second, The use of genre convention which makes easy to understand storyline. third, the strategy of identification which concreate the immersions. last, adaptation of traditional narrative which did not 3D- filmed yet.
                    목차
1. 들어가며
	                       
	                          2. 입체영화 현황
	                       
	                          3. 기술의 변화가 가져온 영화 스토리텔링의 변화
	                       
	                          4. 입체영화 환경에 최적화된 스토리텔링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