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이후’ 신정론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Theodicy of Post-Covid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저자명
- 조영호(Young-ho Cho)
- 간행물 정보
- 『기독교철학』제37호, 385~41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 이후 세계는 변화했다. 코로나는 사람의 죽음을 초래했고 그리스도인들은 엄청난 고통과 씨름해야 했다. 코로나 사태 근저에는 신정론 문제가 놓여있다. 본 논문은 코로나 이후의 신정론을 다룬다.
우리는 코로나와 관련하여 두 가지 현대 신정론을 검토할 것이다. 인격 형성 신정론과 십자가 신학이 그것이다. 이 두 관점을 검토한 후 예수를 모델로 하는 코로나 ‘이후’의 신정론을 찾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코로나 이후 신정론을 구성하는 세 가지 원칙을 제기할 것이다. 이 원칙은 1) 고통을 인정하고, 2) 행위하며 3) 하나님을 신뢰하라는 것이다.
우리는 결론적으로 하나님은 인간과 온 생명의 고통을 원하지 않으신다. 고통은 고통일 뿐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고통 받는 자들과 함께 계신다는 것을 말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world has changed since Covid. Covid caused a lot of deaths and Christians had to struggle. Theodicy lies at the core of the Covid Crisis, which this paper deals with.
Covid Theodicy will be examined in two perspectives. One of Theodicy as ‘soul-making’ and the other of the theology of the cross. After examining these two perspectives, I would like to find a theodicy after covid modeled on Jesus. In this paper, we will propose three principles that constitute Post-Covid theodicy. These are 1) admitting to suffering, 2) acting, and 3) trusting God.
We conclude that God does not want the suffering of man and of life in general. Pain is just pain. God is with those who suffer.
목차
Ⅰ. 서론
Ⅱ. 현대 신정론 이해
Ⅲ. 코로나 이후 신정론 모델: 예수
Ⅳ. 코로나 ‘이후’의 신정론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