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포스터 속 초상사진 연출에 관한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Directing of the Portrait Photograph in the Film Poster: Focusing on Korean Thriller Film Released in 2016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박광택 배상준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74호, 155~19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사진과 구별되는 영화 포스터의 특징을 밝히고, 포스터 속 중요 도상인 얼굴이 전통적 초상사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장르적 관접으로 분석했다. 사진의 과거를 향한 시간성과 달리, 영화 포스터는 관객이 마주하게 될 영화라는 미래의 시간성을 갖는다. 관객이 영화를 상상하고 궁금하게끔 하는 것이영화 포스터의 목적이기 때문에, 친숙한 이미지를 활용하여 영화의 내용을 추측하게끔 유도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영화 포스터는 사적인 기억과 우연성(푼크툼) 보다는 공공에게 약속된 문화적 약호(스투디움)과 더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갖는다. 과거와 미래라는 시간성에 기인한 존재론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영화 포스터는사진의 전통을 이어받는다. 특히 영화 포스터에 많이 활용되는 인물의 얼굴은 초상사진의 전통적인 도상관습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면서, 현대 초상사진과 같이 주변 상황과 연결지어 제시된다. 결국 초상사진과 영화 포스터는 인물과 주변 맥락을 담아내어 보편적으로 수용가능한 이미지를 표현하려 했다는 점에서 유사성을보인다. 초상사진을 기반으로 하는 포스터는 장르영화에서 주로 활용되는데, 특히 스릴러 장르에서 그러하다. 왜냐하면 긴장감을 이미지로 전달하는 스릴러의포스터는 인물의 도상을 활용하여 범인을 밝히지 않은 채 관객에게 궁금증을 유발해야하기 때문이다. 특히 스릴러의 포스터는 타 장르의 그것과는 다르게 프레임의 구성을 통하여 스릴의 핵심인 수수께끼를 관객에게 일종의 선경험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한 분석대상으로 본 연구는 2016년도에 개봉한 한국 스릴러 영화 세편, <곡성>, <아가씨>, <시간이탈자>를 선택했다. 이 영화들의 포스터들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스릴러의 포스터는 첫째, 시선을 중심으로 배경과 소품을 활용하여 각 캐릭터의 심리적인 특징을 부각시키고, 이를 통해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영화의 내용과의 컨티뉴이티를 유지한다. 즉, 영화와 포스터 양자간의 이미지가 동일하게 제시된다. 셋째, 영화 속의 다른 장르적 특징보다 지배적인 스릴창조의 요소를 강조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researchers identify the features of film poster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that of photograph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e that is important icon in poster and the traditional portrait photograph in the aspect of genre. Dissimilar to temporality of photograph that heads to the past, film poster take future temporality of the film that audience will face. As poster’s purpose is making spectator imagine and wonder the movie, the film poster can lead to guessing the contents of the movie by utilizing the familiar image. Thus, it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cultural code(studium) promised to public rather than personal memory and contingency(punctum). In spite of this ontological difference which derives from the temporality of past and future, the film poster follows the tradition of the photograph. Especially, the character’s face that often used in a film poster actively applies the established image custom of portrait photographs and suggested with circumstance around character like contemporary portrait photographs. As a result, photographs and film posters are analogous to each other in representing universally acceptable image with the figure and it`s context. Fim poster based on portrait photographs mainly utilized in genre movie especially thriller. Because thriller poster that delivers the tension through image has to arouse the audience’s curiosity using character icon without revealing the criminal. In particular, the poster of thriller conveys the essence of the thrill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frame, unlike that of other genres, to the audience as a sort of preconceived experience.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three Korean thriller film released in 2016, , ,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영화 포스터의 존재론적 의미
3. 초상사진과 영화 캐릭터 포스터
4. 초상사진 포스터와 스릴러 영화의 장르적 특성
5. 2016년 한국 스릴러 영화의 포스터 분석
6.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광택,배상준. (2017).영화 포스터 속 초상사진 연출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 155-194

MLA

박광택,배상준. "영화 포스터 속 초상사진 연출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2017): 155-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