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xtensibility of cinema presented by Apichatpong Weerasethakul: The questions recalled by Fever roo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선우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4호, 95~12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작품들에 나타난 다양한 실험적 시도들이고전적이고 보편적인 영화의 개념을 어떤 방식으로 변화, 확장시키고 있는지를밝히고자 한다. 이 글에서 의미하는 ‘영화의 확장’이라 함은 기술의 발전을 넘어, 영화의 관습적인 규범을 무너뜨리는 전방위적인 시도를 의미한다. 커리어 초기부터 위라세타쿤은 수많은 단편 영화와 인스톨레이션 작업을 통해 영화라는 매체의 한계를 지속적으로 실험해 왔으며, <정오의 낯선 물체>로 시작되는 장편 영화들에서도 그의 혁신성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최근 공개된 <열병의 방>은 그동안의 실험들을 총망라하는 중요한 작업으로서, 위라세타쿤영화 세계를 대표하는 고유한 특징들을 종합적으로 환기하고 있다. 위라세타쿤이 제시하는 영화적 확장의 가능성은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로, 고전적 서사의 해체를 통한 서사의 가변성이다. 위라세타쿤적인 영화는 문학적인 서사성과 선형적인 시간성을 거부하고, 단편적이고다층적인 이야기 구조를 적극적으로 추구한다. 인과성에 기댄 논리적이고 순차적인 전개 대신 에피소드와 순간에 집중하며, 이러한 분산된 내러티브는 실험적인방식으로 결합된 이미지와 소리를 통해 재현된다. 이러한 불완전한 서사는 ‘영화적으로 이야기하기’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둘째로는, 공통의 테마와 모티브를 통한 작품들의 연계이다. 그의 작품들은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몇 개의 주요한 테마와 모티브를 통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위라세타쿤의 영화 세계’라는 큰 그림을 그려낸다. 따라서 한 편의 영화만을 봤을 때와 다수의 작품을 봤을 때의 이해의 깊이는 달라질 수밖에없다. 특히, ‘기억’은 모든 영화들을 관통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주제이며 이 감독이 영화 작업을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는 텍스트 외적인 요소로서, 위라세타쿤은 영화가 관객을 만날 수 있는 공간적인 조건을 다양하게 구축하고자 한다. 실제로 그는 미술관을 배경으로 하는 다양한 비디오 아트 작업을 계속해 왔는데, <열병의 방>은 여기에 연극적인 요소까지 더하여 한 발 더 나아간 시도를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영화적 공간을 통한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제공한다. 위라세타쿤의 이러한 혁신성들은 관객에게 영화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 영화의 모습을 그려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ways in which various experimental attempts in the works of Apichatpong Weerasethakul are changing and expanding the classical and universal concept of cinema. The term ‘expansion of cinema’ used in this study refers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ut also to all the attempts to break down the conventional norms of cinema. From the beginning of his career, Weerasethakul has been experimenting with the limitations of cinema through numerous short films and installations, and continues to innovate in feature films that begin with Mysterious object at noon. Among them, Fever room, which was recently released, is an important work to complete his past experiments, and recalls the unique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the cinematic world of Weerasethakul. The possibility of cinematic expansion by Weerasethakul can be studied in three aspects. First of all, the variability of narrative through the dissolution of classical narrative. The work of Weerasethakul rejects literary narrative and linear temporality, and actively pursues a fragmented, multi-layer narrative structure. Focusing on episodes and moments instead of logical and sequential development of causality, this dispersed narrative is represented through combined images and sounds in an experimental way. This imperfect narrative presents a new possibility of ‘cinematic story telling’. Secondly, the connection of works through common themes and motifs. Each of his works individually creates their own world and, on the other hand, draws a big picture called ‘Cinematic World of Weerasethakul’, which is closely connected through several major themes and motifs. Therefore, the depth of comprehension when watching only one film and watching many works is different. In particular, ‘memory’ is the most important theme that penetrates all his films, and this is why the director continues to work on the cinema. Finally, as an extrinsic element of the text, Weerasethakul tries to establish a variety of spatial conditions in which the film can meet the audience. In fact, he has been working on various video arts in the museum, and Fever room provides a new cinematic experience through a new cinematic space by adding a theatrical element. These innovations by Weerasethakul allow us to rethink what cinema is and give us some important clues that will allow us to draw a picture of future cinema.
목차
1. 들어가며
2. 가변적 서사
3. 모티브의 공유를 통한 작품 연계
4. 체험적 관람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