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독립영화 2세대의 영화미학론

이용수  14

영문명
Film Aesthetic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Independent Film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효인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77호, 201~241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독립영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특정한 활동을 하였다. 당시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연대하는 한편 새로운 영화 비평을 추구하였던것이다. 이를 1970년대 독립영화 활동과 구분하기 위하여 독립영화 2세대라고 부르고자 한다. 이 시기 활동은 영화운동론과 영화미학론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전자는 영화 ‘운동’으로 후자는 ‘영화’운동으로 부르면서, 이러한 운동을주도한 사람들을 이 글에서는 편의상 운동진영과 비평진영으로 부르기로 한다. 하지만 이 글은 영화운동론을 거의 다루지 않을 것이며, 영화미학론을 주로 다룰 것이다. 독립영화 2세대의 활동은 『프레임 1/24』, 『열린영화』, 『레디고』, 『민족영화』, 『 영화언어』 등의 잡지와 『새로운 영화를 위하여』 등의 번역서를 통하여 파악할 수있다. 특히 영화미학론은 15호까지 발간된 『영화언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야한다. 운동진영과 비평진영은 서로 경쟁하거나 협력하면서 이 시기 한국영화의개혁을 위해 활동하였다. 『영화언어』는 영화학과 영화비평 영역에서 작가주의, 신형식주의, 스타일 비평 등을 추구하였다. 반면 『민족영화』 등은 리얼리즘 비평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리얼리즘과 관습적인 영화에 대한 두 진영의 생각은 서로달랐다. 이러한 이 시기의 활동은, 이후 『영화언어』 리더들이 부산국제영화제 창설 활동에 집중하게 되고, 『민족영화』 주도 인물들 또한 활동의 변화를 보이면서, 1990 년대 초반 한국영화계의 변화와 함께 막을 내리게 된다. 그리고 그 다음 세대 비평가들이 대중영화와 장르영화에 대한 관심으로 비평의 축을 옮기면서 한국 영화비평계는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게 된다.

영문 초록

Korean independent films have had specific activities from the mid 1980s to the early 1990s. At the time, it was pursuing a new film criticism while being in solidarity with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It is called the second generation of independent film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independent movie activity in the 1970s.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film movement theory and film aesthetics. In addition, the former refers to the ‘movement’ of the film and the latter to the movement of the ‘film’, and those who have led these movements are referred to as the movement group and the criticism group for convenience. This article, however, will hardly deal with the theory of film motion, and will deal mainly with film aesthetics. The activiti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independent film can be grasped through magazines such as Frame 1/24, Yeolrin Younghwa(Open Cinema), Ready Go, MinJock Younghwa(National Cinema), (A Film Quarterly of Theory & Practice, Film Language). In particular, film aesthetics should be analyzed for Younghwa Eoneo. The Movement group and the criticism group competed or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worked for the reform of Korean films during this period. Younghwa Eoneo pursued new formalism, Authorism and style criticism in the fields of film and film criticism. On the other hand, the MinJock Younghwa pursued realism criticism. But the two group’ thoughts on realism and conventional narrative and style were different. Since 1992, the leaders of Younghwa Eoneo have focused on the organization of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leaders of MinJock Younghwa quit their activities. Their activities ended in the mid-1990s with changes in the film industry. And as the next generation of critics shift their focus to the attention of popular films and genre films, Korean film critics are entering a new stag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영화번역서, 『열린영화』와 『새로운 한국영화를 위하여』
3. 『영화언어』와 『민족영화』
4. 비평기획 – 작가정책
5. 리얼리즘 비평과 신형식주의 비평
6.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효인. (2018).한국 독립영화 2세대의 영화미학론. 영화연구, (), 201-241

MLA

이효인. "한국 독립영화 2세대의 영화미학론." 영화연구, (2018): 201-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