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bjection and the Feminine Subject in The Truth Beneath: Focused on Close-up, Film Space and Sound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유지선 정재형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7호, 131~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한국영화 중 여성주의 영화로 평가받아온 <비밀은 없다>의 영화스타일에 대해 분석한다. 이것은 <비밀은 없다>의 특징적인 영화스타일이 비밀을 추적하는 미스터리 스릴러의 장르 화법을 전개시키면서 동시에 여성연대라는 주제를 견인해내기 때문이다. 이 영화에서 클로즈업은 지배적 스타일로 전체를 관통하며, 일반적으로 다른영화보다 빈번하게 지속적으로 등장한다. 미스터리 스릴러의 장르에서 클로즈업의 활용은 단서를 확대하고 집중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클로즈업의 과잉적 활용은 확대와 집중 그 이상의 것을 관철시킨다. 왜냐하면 추적극의 단서 제시에서 계속되는 클로즈업의 나열은 오히려 확대를 통한 집중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바로 여기에 주목한다. <비밀은 없다>가 지배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클로즈업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영화에서 클로즈업은 은유적 장치로 더 많이 활용된다. 클로즈업은 추적극이라는 구조의 이 영화에서 피해자, 증인, 추적자를 평면적인 프레임으로 담아낸다. 여기서 숨겨진 가해자까지 암시적 단서로 제공되는 동안 여성들은 훼손대상으로 점철된다. 피와 땀, 오물로 범벅이 된 여성의 신체는 익스트림 클로즈업으로확대 집중되며 ‘여성괴물’이라는 장르영화의 파괴적 여성 캐릭터로 나타난다. 바바라 크리드는 ‘여성괴물’의 특징을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비체(卑體) 즉 ‘아브젝션’을 통해 설명한다. 클로즈업은 평면화된 프레임을 채우는 여성들의 피와 광기로 뒤덮인 신체를 통하여 저항적 피의 아브젝션을 은유화한다. 실종된 딸을 추적하는 연홍의 추적극인 <비밀은 없다>에서 여성은 은폐된 가부장제 사회의 파괴를 통하여 반사회적 보안관으로 각성해나간다. 평면화된 프레임을 채우는 연홍의 광기어린 얼굴은 피해자인 딸 민진, 조력자인 민진의 친구미옥의 아브젝션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연대는 은폐된 가부장적 사회/야성적공간/ ‘아브젝션’의 고속도로라는 세 공간의 대립과 교차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사운드는 클로즈업된 프레임에 구성되는 각각의 공간을 공명시키며 여성적 목소리를 드러낸다. 여기서 카자 실버만이 『음향적 거울』에서 서술한 ‘여성적 목소리’ 는 적극적으로 적용된다. 영화에서 클로즈업은 표면적인 기법에서 나아가 하나의 언어로서 공간 및 사운드와 관계한다. <비밀은 없다>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클로즈업의 활용은장르의 관습을 변주하고 창조하면서 새로운 영화언어를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film style of The Truth Beneath(2015) directed by Kyoungmi LEE, which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remarkable Korean films on the feministic point of view. Because the characteristic film style of The Truth Beneath develops the genre of mystery thriller pursued secrecy, it is simultaneously drawing the theme of women’s solidarity. In this film, Close-up passes through the whole in a dominant style, it is usually much more continual than that of other films did. The use of Close-up in the genre of mystery thriller effectively serves to blow-up and focus on clues. However, in The Truth Beneath, The Excessive use of Close-up goes beyond blow-up and focusing. This is because the parade of Close-up that continues in the presentation of clue to the mystery plot hinder concentration and focus through blow-up. And that is where the questions arise. Close-up is used often as a metaphor in The Truth Beneath. The Close-up captures the victims, witness, and tracker in a flat frame of the film, which is a structure of mystery thriller. In addition, while even hidden perpetrator is provided as connotational clue, women are riddled with injured objects. The faces of women covered in blood, sweat and crud are focused in extreme Close-up as a destructive feminine character in a genre film called ‘monstrous-feminine’.Barbara Creed explains the character of the ‘monstrous-feminine’ through Julia Kristeva’s ‘abjection’ in The Monstrous-Feminine: Film, Feminism, Psychoanalysis. The Close-up is a metaphor for the abjection of resistant blood through a body covered with blood and madness of feminine who fill the flat frame. In Yeonhong’s chasing tracks the missing daughter, woman wake up as ‘an anti-social sheriff’ through the destruction of a concealed patriarchal society. Yeonhong’s madness face, which fills the flat frame, is connected to the abjection of the victim, daughter Minjin and her friend Miok. And the solidarity takes place through the conflict and trans of three spaces, a concealed patriarchal society, a wild space, a highway of abjection. The sound resonances each space formed by a Closed-up frame and reveals ‘a female voice’. Here, ‘the female voice’, that Kaja Silverman describes in the The Acoustic Mirror : The Female Voice in Psycho-analysis and Cinema, is actively applied. In the film, Close-up goes beyond superficial techniques and relates to space and sound as a film language. The use of Close-up,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Truth Beneath, shows a subversive film language, varying and creating a genre convention.
목차
1. 들어가면서
2. 저항적 의미로서 피의 아브젝션
3. 나가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