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라북도 청년층의 우울감 및 자살생각 결정요인

이용수  187

영문명
Determinants of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young adults in Jeollabuk-do: Focusing on sex-differential pattern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김재우(Jae-Woo Kim)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제24권 제3호, 63~113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경제적 지위 및 사회적 고립 관련 변수들의 효과에 주된 관심을 두고 코로나-19팬데믹 시작 전후 전라북도 청년들의 우울감과 자살생각 경험의 결정요인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도와 2021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 중 전라북도 전체 청년 표본을 사용하였다. 첫째, 코로나 시기 학력 및 경제활동 상태 유형에 따른 중증도 이상 우울감 격차는 물론 비경제활동 여성들의 자살사고 위험 역시 더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 이전에 비해 이혼이나 별거 또는비혼으로 인한 독신 집단과 기혼 집단 간 자살생각 경험의 차이가 더욱 커졌다. 코로나 기간 중 1인 가구여부는 특히 여성들의 지속적인 우울감 및 자살사고 위험 요인이 되고 있었으며, 도시 거주 청년들의 우울 위험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편이었다. 이에 덧붙여 전반적으로 양질의 물리적 동네 환경은 청년들의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고위험 음주는 특히 여성 집단에서 우울감과 자살사고 위험 간의 관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청년층 안의 불평등이라는 관점에서 전라북도 청년 정신건강 정책의 기본 방향과 관련된 시사점들을 논의해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sex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risks among young adults in Jeollabuk-do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with focused on variables related to socioeconomic status and social isolation. Towards this end, we used the sample of twenties and thirties from the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in 2017 and 2021. During the pandemic, we found 1) the greater gradient in moderate or stronger depressive symptoms along educational attainment and the principle economic status regardless of gender and in suicidal ideation among economically inactive women during the pandemic; 2) the wider difference in the risk of suicidal thought between the married and the single due to divorce, separation, or non-marriage; and 3) solitary living and residing in urban areas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bo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women and for depression regardless of sex, respectively. In addition, good environmental amenities in neighborhood serves as a resource factor for mental health, whereas high risk drinking is more likely to suppress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women than among m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l inequalities within the same group of young adults, we provide overarching principles to overcome their health disparities for local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based on our main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사례 연구의 맥락
Ⅲ. 선행 연구 검토
Ⅳ. 연구 모형 및 자료와 방법
Ⅴ. 주요 결과
Ⅵ. 토론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우(Jae-Woo Kim). (2023).전라북도 청년층의 우울감 및 자살생각 결정요인. 지역사회학, 24 (3), 63-113

MLA

김재우(Jae-Woo Kim). "전라북도 청년층의 우울감 및 자살생각 결정요인." 지역사회학, 24.3(2023): 63-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