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재생 공간의 장소성이 방문자 만족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Place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Space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최은아 전수성 이록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1권 제4호 (통권 제62호), 105~1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place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spaces on visitor satisfaction and oral inten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urban regeneration visitors in Daejeon, a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derived. First, among the places, place by historical and place symbols, place by the use of materials and objects, and place by Hodogic spatial experience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isitor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to urban regeneration spaces had a positive effect on oral intention. Third, among the places, place by historical and place symbols and place by the use of materials and objec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isitor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place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spaces had a positive effect on oral intention through visitor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visitor satisfaction in planning urban regeneration of the old city center.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업공인중개사의 직무특성요인이 경영성과와 직업안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도시재생 공간의 장소성이 방문자 만족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발전사업 투자특성에 관한 연구
- 창원시 지방소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시티 시민참여 리빙랩 구축을 위한 중소도시 사례 연구
- 특별수선충당금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건축디자인 정보처리 모델에 관한 연구
- GIS 기반 로컬상권의 성장에 따른 상권특성 변화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제21권 제4호 (통권 제62호) 목차
- 한국인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주거가치요인들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소형 빌딩 특성이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분석
- 코로나19 전후 고령가구 주거이동 실태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