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 정보혁명에 따른 비전통적 안보위협과 동아시아 신질서
이용수 3
- 영문명
- The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 the Network Society and the Changing Order in Northeast Asia: New Challenges and Korea's Responses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근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통권 제21호, 53~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냉전의 종식과 함께 도래한 정보화시대가 전통적인 안보논리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또한 실제로 어떠한 안보위협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 바탕에서 동아시아 질서에 미치는 안보적 영향을 평가, 대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미 정보혁명이 기존의 전쟁수행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국내에서도 연구가 시작되고 있고 또 상당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이들은 전쟁이라는 전통적 안보영역 속에서도 매우 미시적인 부분에 대부분 초점을 맞추고 있어 사실상 정보혁명의 보다 포괄적인 안보적영향을 잡아내지 못하고 있다. 1) 특히 냉전 종식이후 정보혁명에 따른 국내의 사회구조와 국가 간의 상호의존관계에서의 근본적인 변혁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러한 변혁이 지역 질서 및 국가의 생존능력에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살피는 연구 는 많이 나와있지 않다.따라서 정보화와 전쟁에 관련된 미시적인 연구에서 탈피하여 보다 근원적으로 정보화가 포괄적인 국가안보에 구조적으로 미치는 용향을 파악할 필요가 잇다고 생각된다. 그러한 맥락에서 이글은 정보혁명의 전통 및 비전통적 안보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기왕의 국제정치학에서의 안보논의에 주는 함의와, 그 연장선상에서 동아시아 질서에 주는 의미 및 한국의 대응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정보혁명에 따른 안보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Ⅱ. 정보혁명과 비전통안보:사례와 동아시아의 현황
Ⅲ. 평가 및 대응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