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ⅩⅤ)

이용수  1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저자명
David Tsui
간행물 정보
『전략연구』통권 제49호, 187~20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7.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51년 중순 CPVA의 제 5차 전역의 실패는 전쟁의 종결을 위한 휴전협상 개최에 대한 북경의 태도 변화에 하나의 분수령이 되었음이 증명되었다. 초기 4개의 전역은 CPVA로 하여금 UN군에 대항해 공격 및 방어 작전 모두를 수행할 수 있게 했다. 이 전역들은 북경의 군사적 자신감을 북돋아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모택동은 CPVA가 UN군을 전쟁의 패자 혹은 최소한 열등한 존재로서 협상 테이블로 부를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결과적으로 북경은 다음과 같은 휴전협상의 엄격한 전제조건을 주장했다. (1) 한반도에서의 외국군 철수 (2) 한반도 인민들의 민족 자결권(3) 대만에서의 미군철수 (4) 중국의 UN가입. 하지만 제 5차 전역 후 북경은 CPVA의 기술적 수준이 근본적으로 향상되지 않는 한 이러한 기대들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CPVA는 위의 모든 비현실적인 전제조건을 포기하면서 UN군과 대충 동등한 위상으로 휴전협상에 임해야만 했다. 원래 스탈린이 먼저 생각해내고 제시되었지만, 성공적인 제 3차 전역의 승리 직후에 공산측이 서울과 남한영토 일부를 미군의 대만철수와 중국의 UN가입 및 대일 공동 평화조약과 교환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UN군과 휴전협상을 해야 한다는 Peng의 제안이 모택동과 UN군에게 받아들여졌다면 이것은 중국에 있어 최대의 이득이 되었을 것이다. 이런 제안을 거절해 현재까지 대만문제가 미해결됨으로써 모택동은 자신의 군사 경력에 최대 오점을 남긴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제 1장에서 김일성의 한반도 전체의 “해방”에 대한 모택동의 태도가 스탈린 보다는 더 긍정적이었다고 저자가 주장한바 있는데, 초기 휴전협상에 대한 스탈린의 태도가 모택동 보다는 덜 완고했다는 것은 흥미롭다.

영문 초록

목차

〔편집자註〕
7.6 대만 수복 기회의 상실
7.7 중공군의 한반도 개입명분을 강화하기 위한 대만과 한반도 문제의 연결
7.8 평화협상 전 더 많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7.9 전전상태의 회복(restoring the status quo ante bellum)이라는 목적
7.10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David Tsui. (2010).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ⅩⅤ). 전략연구, (), 187-204

MLA

David Tsui.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ⅩⅤ)." 전략연구, (2010): 187-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