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 도발 시 “단호한 대응”과 “확전 방지” 조화 방안

이용수  28

영문명
“Resolute Response” and “Prevention of Escalation” Regarding North Korean Provocations: Appropriate Application of Self-defense and Rules of Engagement
발행기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저자명
박휘락
간행물 정보
『전략연구』통권 제54호, 97~12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이후 “단호하게 대응하되 확전을 방지하라”라는 대통령의 상충된 지침과, 교전규칙에 집착하여 공군기로 적 포진지를 사격하지 못하였다는 군의 설명이 국민들의 호된 질책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지침이나 설명은 오히려 타당한 것으로 앞으로의 도발 대응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위권과 교전규칙의 개념을 정리한 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시 한국군이 실제적으로 적용했던 사례를 분석하였고, 특히 북한의 핵무기 사용, 수도권에 대한 제한적 공격, 서해 5개 도서에 대한 상륙공격, 주요 도시에 대한 미사일 공격 등의 상황을 예상하여 “단호한 대응”과 “확전 방지”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한국은 자위권의 적극적 행사 필요성을 유념하는 가운데, 북한 미사일에 의한 공격이나 핵 및 화생무기 공격과 관련하여 응징공격까지 고려할 수 있어야 하고, 필요할 경우 예방적 자위권 차원의 선제공격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철저한 대비태세를 통하여 북한이 어떠한 형태로 도발을 하더라도 금방 무력화시키는 것이 단호한 대응과 확전 방지라는 두 가지 요소를 가장 자연스럽게 충족시키는 방안이다.

영문 초록

There raised huge criticisms regarding President Lee, Myung-bak's directive of “Resolute Responses and Prevention of Escalation” in response to the North Korean shelling on Yeonpyeong Island on November 23, 2010. Korean military also was criticized for its passive application of the rules of engagement. However, they need be reevaluated and recognized as right ones, and be applied regarding possible North Korean provocations. This article introduced the right of self-defense including anticipatory self-defense and rule of engagement as theoretical basis for an analysis. Then, it analyzed the application of right of self-defense during the sinking of South Korean warship, Cheonan, on March 26, 2010, and bombing on Yeonpyeong Island. It reviewed plausible options South Korea could take in response to the North Korean provocations such as the use of nuclear weapons, limited attack against Seoul, amphibious operations toward islands in the West Sea and missile attack on South Korean cities. This paper found that South Korean people need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right of self-defense and be more resolute in the application of it. It recommended that retaliatory attacks or preemptive actions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response options. It concluded that reliable combat readiness which can neutralize any North Korea provocative attempts should be emphasized.

목차

Ⅰ. 서론
Ⅱ. 자위권과 교전규칙에 대한 이론적 검토
Ⅲ. 자위권 행사에 관한 사례 분석
Ⅳ. 천안함 및 연평도 사태 시 자위권 행사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휘락. (2012).북한 도발 시 “단호한 대응”과 “확전 방지” 조화 방안. 전략연구, (), 97-123

MLA

박휘락. "북한 도발 시 “단호한 대응”과 “확전 방지” 조화 방안." 전략연구, (2012): 97-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