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유년기 놀이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9
- 영문명
-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ildhood Play Experiences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지영(ji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8권 제4호, 311~32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년기 놀이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에 있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58명(여 55명, 남 3명)이다. 연구 방법은 연구참여자를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유년기 놀이 경험에 대해 토론을 한 후 토론 내용에 대해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토론의 결과보고서 내용에서 의미 있는 단어와 구문을 추출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가 유년기에 좋아했던 놀이와 싫어했던 놀이는 개인 놀이와 집단놀이, 실내놀이와 실외놀이가 골고루 나타났으며, 좋아하거나 싫어했던 이유는 놀이의 특성, 놀잇감의 특성, 개인적인 성향이 반영되었다. 또한 유년기 놀이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점은 다양한 분야의 발달에 도움이 되었으며, 긍정적인 정서를 느낄 수 있었고 기억과 추억을 만들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가 본인의 유년기 놀이 경험을 회상함으로써 유아의 놀이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유아의 놀이 지원 기술을 습득하여 놀이지도 및 지원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ildhood play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meaning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8 second-year students (55 females and 3 male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junior college in Gyeonggi-do.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small groups discussing their childhood play experiences, and then writing a report on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The collected data extracted meaningful words and phrases from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report and analyzed their mea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games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liked and disliked in childhood were individual play, group play, indoor play, and outdoor play, and the reasons for liking or disliking them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 and the individual inclinations. In addition, what I was able to gain through childhood play experiences helped me develop in various fields, and I was able to feel positive emotions and create memories.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pre-child teachers understand children's play experiences and meanings by recalling their childhood play experiences, and will provide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play guidance and support capabilities by acquiring children's play support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졸업학기 대학생의 고용가능성 유형과 수준 분석·충청 소재 A대학을 중심으로
- 클라이언트의 죽음을 접한 사회복지사
- 비행청소년의 부모 애착수준에 따른 새둥지화 반응특성 연구
- 참여자 통합형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사례연구
-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스트레스 자각 척도(PSS)를 이용한 고객센터 근무자들의 스트레스 측정
- 메타인지 개입을 통한 경계선 지능 학습자의 학습력 강화 프로세스
- 노인의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역량기반 ‘보육학개론’ 수업모형 개발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지방정부 ‘SNS 숏폼’의 타이틀 콘셉트와 영상 콘셉트에 관한 상관관계 연구
-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보호사가 경험한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이중언어 중국인 석박사 학생의 유학생활 만족도와 개선방안 연구
- 광역시와 광역도 거주자의 우울경험 여부에 대한 분류 분석
- 시뮬레이션 기반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눈치, 의사소통능력,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 외국인근로자(E-9)의 대학교육 허용에 대한 대학관계자의 인식연구
- 사회복지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경험
- 보육교사의 절차공정성 인식과 직무수행태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유년기 놀이 경험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들의 돌봄 욕구 분석
- 망고스틴 꼭지를 활용한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기초자료 연구
- 학업을 중단한 한국 청소년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특성
- 전사인자 발현 조절을 통한 황금/아티초코 복합추출물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
- 웹툰 전공 핵심역량이 생성형AI 활용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인터넷 도박에 관한 연구 동향
- 어린이집 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에 대한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