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 지역사회의 사라져가는 마을 조사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sappearing village survey in our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현순안(Soon-An Hyun) 노영희(Younghee Noh) 이상엽(Sang-Yup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7권 제4호, 67~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conducts a case analysis on disappearing village research in order to conduct a village survey to discover local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of disappearing villages in our community, and selects villages by developing criteria for selecting disappearing villages. The purpose was to establish.
(Design/methodology/approach) First,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of village research and village survey research to examine the concept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village, and established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village’ in our study. As a result of comparing previous stud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the factors that led to common selection criteria for disappearing villages.
(Findings) In order to derive areas with a sharp decline in population, data on the population by town, township and dong as of 2017 and 2022 were used to examine the increase and decrease, and the increase and decrease ratio (%)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compared to the population in 2017. The top 400 towns, villages and dong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crease/decrease ratio index. Looking at the top 400 areas with a sharp decline in population, Gyeonggi-do (58), Busan (53), Gyeongsangnam-do (39), Jeollanam-do (38), Seoul (36), and Daegu (30).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It can be said to be a practical indicator that can objectively confirm the phenomenon of realistic population decline in a village by using demographic data at the town, township, and dong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Rule of Virtue” in Chinese Administration
- 미래사회 문제해결 및 사회수요 부응을 위한 융합인재 양성방안 연구
- 지방자치단체에서 정보화 사업추진 건수가 정보화 예산 규모에 미치는 영향
- 우리 지역사회의 사라져가는 마을 조사 연구
- Analysis of Changes in China’s Insfectious Disease Response System: Focusing on Response to COVID-19
- 기관의 성과, 수요분석 및 사후 논의
- Trust as a Bridge? A Theoretical Comparis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ccountability
- 중국 무술무형문화유산의 관광산업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사회의 공정성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저출생 시대의 아동돌봄서비스에서 지역 간 형평성에 관한 비교 연구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NRF’s Humanities City Support Project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Crisis Perception of Professors at Local Universitie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