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ngitudinal Effects of Self-Esteem,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Depression on Happiness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박상희(Sang-Hee Park) 최희철(Hee-Choel Choi) 김영미(Young-Mi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5권 제3호, 167~18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여성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자존감, 장애 수용,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가 유의한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대상은 571명의 여성 지체장애인이었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는 장애인 고용패널 2차 웨이브 6차 연도, 7차 연도 둘 모두에서수집된 자료에서 추출되었다. 이 연구의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6차 연도의 자존감은 7차 연도의 행복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6차 연도의 장애수용은 7차 연도의 행복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6차 연도의 우울은 7차 연도의행복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의 결과들은 선행시점에서의 행복뿐만 아니라 자존감, 장애 수용이 후행 시점의 행복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유의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self-esteem,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depression on happiness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571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data in this study came from both of the 6th and 7th survey point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self-esteem in 6th survey poin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did predict 7th survey point’s happiness. Secon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6th survey poin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did predict 7th survey point’s happiness. Third, depression in 6th survey point did not predict 7th survey point’s happin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revious point’s happiness, self-esteem,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following point’s happi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 개발을 위한 교수자 핵심역량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Validation of 5-Factor Personality (K-OCEAN) Scale of Korean College Students
-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력개발 지원 챗봇(Career Development Supporting Chatbot, CDSC) 시나리오 디자인
-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3-2022)
- 청소년의 학습시간 활용 유형의 특징과 영향요인 분석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존감, 장애 수용,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학습플랫폼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순천만 흑두루미 놀이 인형극 퍼포먼스 탐구
-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연계 특수학교(급)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