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eyword Network Analysis of Learning Platforms Research with a Focus on Empirical Studies Over the Past Five Year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박정은(Jeong-Eun Park) 이승민(Seung-Min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5권 제3호, 119~1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최근 5년간의 학습플랫폼 관련 실증연구를 분석하여 학습플랫폼 연구의 기초자료를제공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실린 126편을 학습플랫폼 논문을 분석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시기별, 교육대상별로특징을 조사했고, 중심성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 이전 연구는 ‘학습성취도’가 주요 변수였지만, COVID-19 이후에는 ‘학습플랫폼’, ‘온라인교육’ 등이 큰 영향을 미쳤다. 공교육과 공교육 외 분야에서 학습플랫폼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노드 간 중심성 관계를 파악했고 분석 결과를 알고리즘을 통한 시각화를 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학습 변인의 다양화와 실시간 수업의 중요도, 학습플랫폼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이 학습플랫폼의 발전과 학습경험을 향상에 미치는 다양한 변수의 중요성에 대해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mpirical research on learning platforms over the last five year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is field and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ology: A total of 126 articles on learning platform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18 to 2022, were analyzed.
Results: The study found a shift in the research focus before and after COVID-19. Pre-pandemic, 'learning achievement' was a key variable, whereas post-pandemic, 'learning platform' and 'online education' gained more significance. The impact of learning platforms also varied between public and non-public educational sec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visualized using as algorithm.
Conclusion: The research discusses the diversification of learning variables, the importance of real-time classes, and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platforms.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how the COVID-19 pandemic has influenced the evolution of learning platforms and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various factors in enhancing learning experi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 개발을 위한 교수자 핵심역량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Validation of 5-Factor Personality (K-OCEAN) Scale of Korean College Students
-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력개발 지원 챗봇(Career Development Supporting Chatbot, CDSC) 시나리오 디자인
-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3-2022)
- 청소년의 학습시간 활용 유형의 특징과 영향요인 분석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존감, 장애 수용,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학습플랫폼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순천만 흑두루미 놀이 인형극 퍼포먼스 탐구
-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연계 특수학교(급)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