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의 빈집 해소 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이용수 77
- 영문명
- A Study on Determinants of Vacant Houses and Policy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이섬결(Seom Gyeol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제39권 제3호, 119~13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구시 빈집의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고,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방치 및 해소(정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문·사회·물리적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 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빈집은 인구·가구·주택 수가 감소하고 노인 및 노후주택의 비율이 높은 쇠퇴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토지 규모, 접도조건 등 개발여건이 좋은 빈집일수록 정비될 확률이 높다. 셋째, 빈집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개발의 형태가 중요하다. 특히 각종 도시 정비사업의 빈집정비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공동주택개발방식에서 빈집정비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개발 또는 도시재생사업과 같은 현지개량방식에서 일반지역보다 정비확률이 낮게 나타나 상위계획과 빈집의 연계성 고려, 공공 개입의 필요성 등 정책적 개선 및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what factors help to remove the abandoned housings, considering environment of the surrounding areas, individual building characteristics, and policy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roject type on abandoned house in urban areas by using binomial logit model,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First, abandoned housings are heavily concentrate on declined areas where the number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houses have been reduced, and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or old houses were high. Second, the abandoned houses surrounded by good neighborhood/development environment are more likely to be rebuilt than other abandoned houses. Third, the type of development project in reducing abandoned houses is also crucial. Apartment housing project accompanied by demolition of old houses is more effective in eliminating the abandoned houses than self-help approach.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자료 및 접근방법
4. 빈집의 현황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과 지나의 국경 특성에 관한 연구
- 독도리 공시지가 실태분석
- 드론 라이다를 이용한 3차원 문화재구역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국가관심지점정보 외부수집 POI의 분류체계개선을 위한 분류원칙 개발 방안
- 부동산 조각투자의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
- 한국형 주소체계 해외 전략국가 진출방안 수립 연구
- 지적재조사사업 책임수행기관제도의 유사사례 분석을 통한 발전방향 연구
- 머신러닝을 활용한 부동산 실거래가 요인 분석
- 탄소중립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항목 개선에 관한 연구
-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를 이용한 지적측량의 오류 유형 분석
- 지적재조사의 책임수행기관 지정제도에 관한 연구
- 도시의 빈집 해소 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유럽의 입체지적 비교 분석 연구
- 북한과 중국의 토지관리제도의 비교 연구
- 중·근세 일본의 토지조사에 관한 연구
- 지적재조사 지적경계 데이터의 관리 개선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