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towards school-maladjusted student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조영숙 김일명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6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향상시켜 부적응행동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고,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대인관계 기술향상 및 문제행동 감소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부적응 청소년의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적응행동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학생 중에서 상담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응한 여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 대부분은 결석, 가출, 불량행동 등으로 특별한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이었다. 본 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03년 7월 3일부터 10월 31일 사이에 주 1회 총 8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 회기는 1시간 30분씩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HTP. KFD : 자신 및 가족에 대한 인지를 통해 대인관계를 측정하고, K-YSR : 문제행동 측정, 문제행동을 위축, 신체증상, 우울 및 불안,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 문제, 비행, 공격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부적응 청소년의 대인관계 기술을 향상시키고,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Group Art Therapy' was known for its effect of improving teenagers' ego & curing maladjustment. This research tried to improve the effect of his(her) affirmative side & consideration towards others though group art therapy of school-maladjusted student. For its purpos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towards the human relationship of school- maladjusted student was focused firsthand, and that of group art towards behaviour problem of maladjustment school student was studied secondhand. The research object were 5 female volunteers among those who needed the improvement of maladjustment. The majority of females needed special discipline caused by absence, abandonment of home & delinquency.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held every week 8 times from 7-3-03 through 10-31-03 & one term lasted 90 minutes. The research implement were HTP. KFD, which measured the relationship through recognition of oneself & family. & K-YSR , which measured the behaviour problem which classified the behavior problem into lack of confidence, physical symptom, agony & discomfort, social immaturity, thought problem, concentration problem, delinquency & aggresive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group art therapy improved the human relationship of school-maladjusted student. Secondly, it also diminished the behaviour problem of school- maladjusted stud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숙,김일명. (2004).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6 (1), 1-19

MLA

조영숙,김일명.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6.1(2004):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