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dentification of key components for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blin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진선 신창섭 최정배 유혜선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4권 제3호, 205~2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장애아동의 산림교육 프로그램에 필요한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각 요인의 가중치를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자(맹학교 특수교사), 산림복지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연구자(충북대학교 산림치유대학원 외 1곳) 132명을 대상으로 시각장애아동의 산림교육 구성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주성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총 3개의 교육요인(감각체험, 신체활동, 사전교육)이 도출되었으며 주성분 회귀분석을 통해 산출된 프로그램 구성비(감각체험 45%, 신체활동 37%, 사전교육 18%)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생의 산림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매뉴얼로 제작․배포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다른 장애영역의 프로그램 개발 시에도 본 연구와 같이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과학적으로 종합하여 분석하는 것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scientific basis for developing optimal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blind children by identifying key components and their respective significance. Throughout this study we surveyed 132 professional educators and researchers and we used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to analyze the results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As a result, we identified three major components: sensory experience, physical activities, and pre-education. The actual program was organized by applying weighting device from the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o a program guide would help to expand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blind children. Second,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blind children; however, programs for other disabilities can be developed by applying the same research proced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산림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도출
- 중도․중복장애학생 대상 치료지원서비스 현황 및 발전방향 탐색
- 비장애 형제자매가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지적장애아동의 지역사회 적응기술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중심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의 학급차원 사회성 기술 중재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척도(QLS-KADD) 개발 및 타당화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간접화행 이해 특성
- 차이와 교육 정의
- 시각장애교육 관련 국내 석사학위 논문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장애인식, 특수교육 전문성, 장애학생의 초등학교 전환, 통합교육 효율성의 구조관계
- 청각장애인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연구 분석
- 특수학급 발달장애 학생의 초·중등 학교급 전환에 요구되는 교육지원요소 탐색
- 난독 자녀를 둔 부모의 난독 선별, 진단 및 특수교육대상자 적격성 판별 경험의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