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외상환자 응급간호 융합교육의 효과
이용수 325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of Trauma Patient Emergency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이지은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7권 제5호, 91~10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에게 외상환자 응급간호 융합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전과 후의 팀워크와 셀프리더십, 학습전이 기대, 외상간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설계이다. 일 간호대학 4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Mann-White U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팀워크(Z=3.81, p<.001)와 셀프리더십(Z=2.74, p=.006), 학습전이 기대(Z=3.05, p=.002), 외상간호 수행능력(Z=2.86, p=.004)은 모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상환자 응급간호 융합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외상간호 역량을 향상하는데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하였다. 추후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간호영역에서 문제중심학습과 시뮬레이션을 융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ing problem-based learning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emergency nursing for trauma patients, specifically focusing on teamwork, self-leadership, the expectation of learning transfer, and competencies in trauma nursing. A pre-post design was used with a single group of 21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includ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Mann-White U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nursing students' teamwork (Z=3.81, p<.001), self-leadership (Z=2.74, p=.006), expectation of learning transfer (Z=3.05, p=.002), and competencies in trauma nursing (Z=2.86, p=.004) all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tegrating problem-based learning with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emergency nursing in trauma patients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enhancing nursing students' competencies in trauma nursing. Based on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nd implement simulation education programs that incorporate the identified effective elements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nursing students' competencies in trauma nursing.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 법안 공동발의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연구
-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환경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방역조치 완화 후 대학생의 코로나19 2가백신 정기 예방접종 의도
- 노인치매관리의 재원체계 관한 한·중 비교연구
- 건강장수도시 제주와 오키나와에 대한 탐색적 비교 연구
- 중소병원 임상간호사의 대인관계문제,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니코틴산에서 유래된 알칼로이드 분자에 대한 양자화학적 연구
-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외상환자 응급간호 융합교육의 효과
- 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와 소진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널자료 분석을 활용한 한국군 적정 병력규모에 관한 실증연구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아동간호 실습교육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제조업체 구성원들의 직무능력개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