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파트단지 내 수경시설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5
- 영문명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hape and Location of Water Features in Apartment Complex.: Focusing on the Capital Area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 저자명
- 김봉진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융복합연구』제3권 제3호, 49~6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중심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수경시설의 형태 및 위치 선호도에 대한 관계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수경시설의 여러 형태 중 경관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된 만큼 수경시설을 계획, 설치할 시 경관형 수경시설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수경시설의 설치 선호 위치 중 산책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된 만큼 산책로 의 구성요소 또는 산책로와 연계하여 계획, 설치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수경시설을 선호하는 이유로 자연·경관의 이유가 가장 많았고 형태 부분에서도 경관형이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냈으며, 위치 또한 산책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된 만큼 수경시설의 도입에 있어 형태와 위치 모두 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수경시설의 청음 환경에 관한 세부 연구가 같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가 되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and location preferences of water features for residents living in the center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I would like to propose as follows.
First, as it was analyzed that landscape type is the most preferred among the various types of water features, landscape-type water features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nd installing water features.
Second, as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promenade is the most preferred loc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water features, it should be planned and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components of the promenade or the promenade. Third, both form and location should b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introduction of water features as the reasons for preferring water features, the landscape type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terms of form.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more meaningful if research on the auditory part of water features is conducted togeth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설계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