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e 3D Character Creation Framework Using Stable Diffusion
이용수 96
- 영문명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e 3D Character Creation Framework Using Stable Diffusion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허준 김석규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6권 3호, 19~2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게임 산업은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게임 엔진으로는 유니티, 언리얼 등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게임 엔진에서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함으로써 엔진 기능을 자연스럽게 확장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3D 그래픽 기술의 혁신은 게임 캐릭터의 표현력을 더욱 높여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3D 모델링 접근법은 때로 제약과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AI 스캔을 통해 일반 사진을 활용할 때 미세한 세부 요소의 표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table Diffusion을 활용한 게임 3D 캐릭터 생성 Framework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한다. Hair Style가 없는 Concept Art 이미지를 활용하여 제작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인 캐릭터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 Framework의 적용은 제작 프로세스 단계를 감소시키면서 더욱 신속하고 일관된 캐릭터제작을 허용하며, 게임 개발자들이 엔진에 캐릭터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를 통해 게임개발자들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다양한 캐릭터를 엔진에 적용할 수 있게 했다. 또한, 게임엔진에서 애니메이션 동작을 확인하여 Stable Diffusion으로 생성한 3D 게임 캐릭터의 데이터의 실효성과 확장성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The gaming industry is experiencing rapid growth due to 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Game engines such as Unity and Unreal are being actively utilized. These game engines offer a variety of plugins to naturally extend the functionality of the engine. Among them, innovations in 3D graphics technology have made game characters more expressive and enhanced the user experience. However, traditional 3D modeling approaches can sometimes bring limitations and challenges. In particular there are problems with the representation of fine details when utilizing general photos through AI scanning. This paper aim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game 3D character generation framework using Stable Diffusion. By improving the creation process by utilizing concept art images without hairstyles, it enables fast and efficient character creation. The application of this framework allows for faster and more consistent character creation with fewer steps in the creation process and helps game developers to adapt characters to the engine more easily and quickly. In addition, we verified the effectiveness and scalability of the 3D game character data generated by Stable Diffusion by checking the animation behavior in the game engine.
                    목차
1. Introduction
	                       
	                          2. Related Research
	                       
	                          3. Design
	                       
	                          4. Realization
	                       
	                          5.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e 3D Character Creation Framework Using Stable Diffusion
- A Study on Military Job Fair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Focusing on ZEPETO
- Analysis of Color Design in PC Horror Game Poster
- A Novel Two-Dimensional Distance Metric to Generalize Manhattan Distance
- A Study on Webgl Efficiency in Unity Server Deployment
- Research on Creating Metaverse Museum Using 3D Open Data of Cultural Heritage
- Adaptive Game Environment Design based on Player Behavior Pattern for Difficulty Adjustment
- A development on the Smart Traditional Market Mobile Application Based on Cloud
- A Study on Parallel Programming Approach for MMO Game Server
- A analysis of Game and Practical Music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at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local universities
- Artistic character generation technique using a controllable diffusion model
- Design and development of a secure non-face-to-face system using QR code
- A development of holographic immersive content using floating solar panels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특허정보를 활용한 국내 반려동물 산업의 기술 융합 동향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분석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게임 바이오 해저드의 캐릭터 성격분석 연구: 머레이의 욕구 및 압력 이론을 중심으로
- 보드게임 밸런스 요인과 플레이어 경험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 생성형 AI 이미지 도구의 단계별 학습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