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roducts, Expenses, and Capital 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s of Life Insurers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류근옥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25권 2호, 59~9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97년 IMF 구제금융 위기 이후 2000년대 들어와 국내 생명보험 산업의 선진화를 위하여 정부가 도입한 변액생명보험, 사업비 공시, 방카슈랑스 판매채널, RBC지불여력비율 공시, 보험회사의 상장 및 다양한 자본특성 등 여러 제도들이 보험회사의 경영성과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는가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생명보험회사의 경영전략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1∼2013년 사이에 23개 국내 생명보험회사의 실적자료로 구성된 패널 데이터(panel data)를 사용한다. 회귀분석을 위한 모형으로는 먼저 최소자승(pooled OLS) 모델을 사용하고 그 다음 Breusch-Pagan 검증을 통해 선택한 변량효과(panel random effects) 모델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험사의 경영성과로서 총자산수익률(ROA)과 보험영업이익률(UWGAIN)을 설정하였으나 2000년 이후 국내 보험제도 변화 및 이에 대한 회사별 대응과의 관계를 가지는 것은 보험영업이익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보험영업이익률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실증분석결과 보험영업이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요소로는 변액상품의 판매비중(+), 방카슈랑스 판매비중(+), 사업비율(-), 그리고 회사의 규모(-)로 나타났다. 반면에 보험사의 재무적 건전성 즉 RBC 비율, 보험회사의 상장여부, 외국계자본 및 금융자본 여부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험회사의 자본 특성이나 상장여부보다는 판매상품의 구성, 판매채널, 그리고 사업비 절감 등이 생명보험사의 영업성과를 좌우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how business performances of life insurers have been affected by the new insurance system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in the 2000s following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which include introduction of variable life insurance, business expense disclosure, bancassurance, risk-based capital (or RBC) and its disclosure, going public and types of capital providers of life insurers. For the empirical tests, the study employs a panel data consisting of observations for 23 life insurers operating in the nation over 3 years from 2011 through 2013. The tests are carried out by two regression models, a pooled ordinary least square (OLS) and a two-way random effects model chosen as optimal by Breusch-Pagan testing. In both models, rate of return on assets(ROA) and underwriting profit ratio(UWGAIN) a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representing performance of life insurers. The test results show several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ing performance of life insurers, which are sales proportion of variable life insurance, sales by bancassurance, management expense ratio, and firm size. However, financial strength (RBC ratio) and some dummy variables such as insurer’s going-public, types of capital providers (e.g. foreign capital, financial capital) do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Such results imply that life insurance products, distribution channel, and expense saving are more important for the better performance of life insurers rather than their types of capital ownership or going public.
목차
I. 연구의 목적과 배경
II. 기존 문헌의 검토
III. 가설설정 및 실증분석
IV. 정리와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대학의 GWP 조직문화와 대학생의 GRIT이 애교심에 미치는 영향
- 외식업에서의 무인 키오스크 도입 효과 분석: 고객 수요 수준에 따른 성과 차이
- 전자산업 공급네트워크에서의 중개자 역할 분석: 활동성과 독점성 중심의 정량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