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적연금 장수위험 측정을 위한 연금사망률 모형

이용수  0

영문명
A stochastic mortality model for annuities to calibrate longevity risk
발행기관
한국리스크관리학회
저자명
조재훈 이강수
간행물 정보
『리스크관리연구』29권 1호,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연금사망률은 생명보험 경험생명표로부터 계산되는 개선율을 이용하여 경험생명표보다 상당히 낮은 연금사망률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실무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국제회계기준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간주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경험생명표와 연금사망률의 적정한 수준을 해외의 경험적 사망률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한 뒤 우리나라 연금사망률의 확률론적 모형을 추정하고 미래 예측값을 계산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추정된 확률적 사망률 모형은 우리나라의 연금시장의 상품개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장수위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연금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망률의 수리적 모형은 이요인 평균회귀확률과정을 적용하였으며 연금계약의 장수위험을 측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추정된 사망률 모형을 이용하여 장수채권의 가격을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계산하였다.

영문 초록

In Korea, the annuity mortality rates have been modified from the life insurance mortality rates by discounting certain amount of rates which were not based on empirical research. As a consequence, it is doubtful that the annuity death rates could satisfy the principles of IFRS. In this article, we examine how we might model the annuity mortality risk by way of mean reverting processes for two factor model.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we forecast the evolution of the annuity mortality from 2013. Also we calculate the issue price of the longevity bond with 40 years maturity.

목차

Ⅰ. 서론
Ⅱ. 경험생명표와 연금사망률
Ⅲ. 이요인 평균회귀확률과정 사망률 모형
Ⅳ. 장수위험의 측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재훈,이강수. (2018).사적연금 장수위험 측정을 위한 연금사망률 모형. 리스크관리연구, 29 (1), 1-32

MLA

조재훈,이강수. "사적연금 장수위험 측정을 위한 연금사망률 모형." 리스크관리연구, 29.1(2018):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