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과 평가에서의 인지적 행동 영역 분류에 대한 고찰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ts of Behaviors of Cognitive Dimension in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손홍찬 고호경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0권 제4호, 535~5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학과 평가체제에서 인지적 행동 영역은 흔히 내용 영역과 함께 평가 목표의 두축을 이루어왔다. 인지적 행동 영역은 학생들이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어떤 정신 능력을 사용하는지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평가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평가에서의 인지적 행동 영역 분류의 변화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행동 영역을 이루는 구성 요소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framework for mathematics assessments traditionally has been organized around two dimensions, a content dimension specifying the subject matter to be assessed within mathematics, and a cognitive dimension specifying the domains or thinking processes to be assessed. The cognitive dimensions describe the sets of behaviors expected of students as they engage with the mathematics cont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n attempt to make diversify and concrete the sets of behaviors by reviewing the current strands suggested by CAS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ssessment framework developed by KEDI, and NAEA(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as famous foreign tests PISA, TIMSS, NAEP and NCTM.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수학과 평가 체제에서의 행동 영역의 분류
Ⅲ. 국외 수학과 평가 체제에서의 행동 영역의 분류
Ⅳ. 비교 분석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