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olitical Leadership and Crisis Management
이용수 61
- 영문명
-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olitical Leadership and Crisis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정승호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5권 5호, 173~18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AI)을 정치적 리더십에 통합하여 위기 관리 분야의 의사 결정에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지 알아본다. 특히 이 연구는 데이터 분석, 위기 예측, 국제 관계에서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정치적 리더십에 있어서도 인공지능의 혁신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인공지능은 신속한 데이터 처리 및 예측 분석과 같은 큰 이점을 제공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 및 알고리즘 편견과 같은 윤리적 문제를 포함한 중대한 문제도 야기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치 지도자들이 인공지능 발전에 대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윤리적 지침을 설정하며, 인공지능에 대한 토론에 대중을 참여시켜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투명성을 우선시함으로써 지도자들은 인공지능의 이점을 활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입각한 정치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drive innovation in the field of crisis management by integrating AI into various aspects of the process. Specifically, it explores whether AI can demonstrate innovative capabilities in areas such as crisis prediction and international intelligence. AI offers significant advantages, including rapid data processing and predictive analysis. However, it also presents challenge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algorithmic bias.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latest developments in AI and the ethical guidelines necessary to ensure its responsible use.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role of leadership in creating a political environment grounded in reliable informa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view of Prior Research
Ⅳ. AI in Political Leadership: A Comprehensive Analysis
Ⅴ. Challenges and Ethical Considerations
Ⅵ. Future Implications for Political Leadership
Ⅶ.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