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coping Review on the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장효열 염계정 박병준 최은영 조하나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7권 제3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 of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and educational effects for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 The data was analyzed by scoping review, using the framework proposed by Arksey & O'Malley (2005) and supplemented by Levac et al. (2010), was conducted. RISS, NDSL, DBpia, KISS, and KCI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Two independent reviewers separately selected studies by extract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using pre-tested forms. Overall, a total of 705 articles were initially identified, out of which 40 articles were ultimately includ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 : The scenario, video taking, and peer tutoring method were observed to be the most commonly utilized educational approach for core nursing skills. The core nursing skills most frequently addressed included indwelling catheterization, vital sign measurements, intramuscular injection, and intravenous fluid infusion. When evaluating core nursing skills, the primary measurements focused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the cognitive domain, performance confidence in the affective domain, and clinical competence in the psycho-motor domain.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operation methods for effective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valuable insights that can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디오 모델링을 이용한 출생 직후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능력,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임상간호사의 호흡기계 환자 간호 경험
-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처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촉진적 의사소통능력, 노인돌봄태도와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에서 도덕적 민감성의 매개효과
-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 간호현장에서 정맥주사요법 교육프로그램 실행연구
- 한국 남녀 노인의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증강현실을 주제로 한 간호교육
- 대학창업문화가 간호창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 대상의 핵심간호술 실습교육 운영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